재기지원펀드, 기업구조조정펀드 레코드 보유해야 정책자금, 손실 20%구간 이내에서 손실 떠안아…민간자금 매칭 유리할 듯
김경은 기자공개 2013-11-01 11:11:45
이 기사는 2013년 11월 01일 10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성장사다리펀드의 재기지원펀드 위탁운용사(GP) 선정 공고가 발표된 가운데, GP 선정 기준을 좌우할 펀드의 주사업 목적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성장사다리펀드는 위탁 운용사 선정시 운용인력 중심의 트랙 레코드(Track Record)를 바탕으로 GP를 선정해오고 있다. 지난 1차 사업인 스타트업펀드에 이어 이번 2차 사업에서도 이 같은 GP 선정 기준이 유지될 것으로 관측된다.
재기지원펀드는 기존 재무안정 PEF(사모투자펀드) 등이 NPL(부실채권) 매매나 담보처분을 위주로 하는 점과는 차이가 있다. 회생절차와 워크아웃이 진행중인 기업에 '신규자금' 지원을 통해 기업의 정상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회생절차 기업에 50% 이상이 투자돼야 한다.
회생절차 기업의 경우 법원에 의한 조기종결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금융거래 제약은 1년 이상 장기화되는 등 금융 공백기가 불가피하게 발생, 회생에 걸림돌로 지목되고 있다.
금융기관은 회생기업 대출시 50~100%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므로 사실상 대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재기지원펀드는 회생절차 기업에 투자 중심으로 신규자금을 지원하고 재무안정 이후 정상화를 위해 사업발굴과 인수합병(M&A)를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존 경영진에게 재기 성과에 따른 주식 부여 옵션 등 인센티브를 적극 장려해 경영진의 재기도 함께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GP가 창업자의 재기지원을 위해 투자할 경우 성장사다리펀드의 초과보수 중 일부를 GP에게 주는 유인책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Corporate Restructuring Company)나 기업구조조정을 전문으로 해온 배드뱅크 등 이 분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5~6개 GP가 제안서를 제출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중 성장사다리펀드 사무국은 2개 GP를 선별 각 500억 원을 출자할 방침이다.
운용업계는 성장사다리펀드의 경우 정책자금이 후순위로 참여해 민간자금 매칭이 수월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보내고 있다.
성장사다리펀드는 정책금융공사, 산업은행, 기업은행, 은행청년창업재단 등이 출자해 조성된 펀드로 정책적 성격의 자금을 민간자금과 매칭해 시장실패 영역에도 투자자금이 수혈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정책자금이 후순위(총 결성액의 20%이내)로 참여해 펀드에서 20% 이상 손실이 발행하지 않는 한 원금을 보장받게된다.
성장사다리펀드 사무국 관계자는 "민간자금은 손실이 20% 이상 나지 않는 한 원금을 보장받는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재기지원펀드가 위험한 투자 수단이라는 인식과 달리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신한금융, 부채비율 43%…우리금융 출자여력 '넉넉'
- [Financial Index/SK그룹]절반 이상 PBR '1배 미만', 체면 살린 SK바이오팜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