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표, 드라이몰탈 사업 속도 낸다 인천2공장 내달 완공…연 생산능력 140톤까지 확대
심희진 기자공개 2016-03-09 08:28:02
이 기사는 2016년 03월 07일 14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건축자재인 드라이몰탈 사업 확대를 위해 설립한 삼표그룹의 인천 제2공장이 본격적인 제품 양산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번 준공으로 드라이몰탈 시장 내 업체간 점유율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7일 업계에 따르면 삼표그룹은 오는 4월 20일경 연간 생산능력 70만 톤 규모의 인천 드라이몰탈 제2공장을 완공한다. 테스트를 통해 생산 라인의 정상 가동 여부와 품질 상태를 최종 점검한 후 4월 말 시제품을 양산할 예정이다.
드라이몰탈은 시멘트, 모래, 혼화제를 일정 비율로 섞어 만든 건축자재다. 물을 붓기만 하면 바로 시공이 가능한 일종의 즉석 시멘트로 비용 감축 효과가 커 각광받고 있다. 과거 건설 현장에선 모래를 채로 걸러 시멘트와 섞은 후 사용했지만 드라이몰탈이 나오면서 이 과정이 생략됐다.
삼표그룹은 2012년 드라이몰탈 사업성 검토를 시작했다. 2013년 시멘트 업계에서 몰탈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경력사원들을 대거 영입해 '몰탈팀'을 신설했다. 2014년 11월 경기도 화성에 연간 생산능력 70만 톤 규모의 드라이몰탈 제1공장 건립을 시작했다.
시멘트업계에선 삼표그룹이 인천 몰탈 공장 준공 후 본격적으로 영업활동에 나서면 16%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삼표그룹의 시장 점유율은 약 8%다. 제2공장(연산 70만 톤)이 완공될 경우 연간 8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제2공장의 공정 진행률이 90%를 돌파했다"며 "공사를 마칠 때 쯤 관할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준공허가를 받아야 하는 데, 그 절차도 거의 다 밟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삼표그룹이 드라이몰탈 사업 확대에 나선 이상 경쟁사 입장에서는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 공정이 정상 궤도에 오를 시 아세아시멘트를 밀어내고 시장 2인자로 올라설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몰탈 시장의 생산량은 한일시멘트(358만 톤), 아세아시멘트(72만 톤) 순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코어, 세아제강지주 준법경영시스템 구축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오일뱅크 빠졌지만…HD현대 배당재원 '조선·전력기기'
- 두산밥캣, 건설기계 불황에도 분기배당 이행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실적 못 따라간 주가, 주주환원정책 '과제'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AT '초전도 선재' 적자 지속…자본잠식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