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전무, 현대로보틱스 공개매수 불참 다수 특수관계인 미청약, 정몽준 지분율 높이기 해석
강철 기자공개 2017-08-02 17:20:34
이 기사는 2017년 08월 02일 17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이 보유 중인 현대중공업,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 주식 대부분을 교환 물량으로 내놓으며 현대로보틱스 지분율을 25.8%로 끌어올렸다. 다만 정 이사장의 장남인 정기선 현대중공업 전무(사진)는 공개매수 청약에 참여하지 않았다.
|
이번 주식 교환으로 정 이사장의 현대로보틱스 지분율은 10.15%에서 25.8%로 상승했다. 지주회사인 현대로보틱스도 현대중공업,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 지분을 27.84%, 27.64%, 24.13%로 늘리며 '상장 자회사 지분 20% 이상 보유' 요건을 충족했다.
주식 교환을 추진한 가장 큰 목적이 '총수 일가 지배력 강화'인 만큼 정 이사장의 공개매수 참여는 어느 정도 예견됐다. 관련해서 정 이사장의 장남인 정기선 현대중공업 기획실 부실장(전무)도 주식 교환에 참여해 현대로보틱스 지분을 확보할 거란 관측이 제기됐다. 일각에선 정 전무의 청약을 기정사실로 받아들기도 했다.
2015년 3월 현대중공업 주식을 처음으로 매입한 정 전무는 분할 직전인 지난 3월까지 보유 물량을 617주로 늘렸다. 이 617주는 분할 과정에서 현대중공업 460주, 현대로보틱스 97주, 현대일렉트릭 30주, 현대건설기계 29주로 쪼개졌다. 많지는 않으나 정 이사장의 지배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량이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정 전무는 공개매수에 참여하지 않았다. 정 전무 외에 주식을 보유한 그룹 임원들도 대부분 청약을 포기했다. 정 이사장의 특수관계인 중 청약에 참여해 현대로보틱스 신주를 배정받은 임원은 권오갑 부회장 정도다.
정 전무의 공개매수 불참에는 부친의 현대로보틱스 지분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겠다는 의중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정 이사장의 최측근 인사로 분류되는 권 부회장 외에 청약에 나선 중역이 없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무게를 싣는다.
이번 주식 공개매수 과정에서 청약율은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였다. 청약 규모에 따라 정 이사장이 확보하는 현대로보틱스 주식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청약 물량이 적을수록 정 이사장의 지분율이 높아지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는 청약 미달이 났고 그 결과 정 이사장의 보유 주식 전량이 현대로보틱스로 넘어갔다. 반면 현대중공업 청약에는 예정치를 27만 주가량 상회하는 물량이 몰렸다. 이로 인해 정 이사장의 보유 주식 575만 4350주 중 557만 5083주만이 교환 대상에 포함됐다. 현대중공업 청약율이 100%를 하회했다면 정 이사장의 현대로보틱스 지분율이 26%를 넘었을 수도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정 이사장이 현대중공업 주식도 모두 현대로보틱스에 넘길 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현대중공업 청약율이 100%를 넘은 건 그룹 입장에서 다소 의외의 결과일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코어, 세아제강지주 준법경영시스템 구축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오일뱅크 빠졌지만…HD현대 배당재원 '조선·전력기기'
- 두산밥캣, 건설기계 불황에도 분기배당 이행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실적 못 따라간 주가, 주주환원정책 '과제'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AT '초전도 선재' 적자 지속…자본잠식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