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L, 팬오션 지분 '해외 매각' 이유는 잠재적 투자자풀 확대…수익 극대화 '노림수'
고설봉 기자공개 2017-09-18 07:58:47
이 기사는 2017년 09월 14일 14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JKL파트너스가 보유하고 있는 팬오션 지분을 해외투자자에 매각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IB업계에서는 잠재적인 투자자 풀을 넓히고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이란 분석이 나온다.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JKL파트너스는 보유 중인 팬오션 지분 2720만 주를 블록딜 형태로 매각했다. 매각은 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주당 매각가는 전일 종가 6570원 보다 4.7% 할인된 6260원이다. 총 매각금액은 1700억 원 규모다.
IB업계 관계자는 "JKL파트너스가 팬오션의 주주 구성을 해외 투자자들 중심으로 하는 게 자신들에게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JKL파트너스가 해외 매각을 고집한 이유는 향후 팬오션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포석이란 설명이다. 해운업 호황기에 대비해 팬오션의 펀더멘털(Fundamental)을 해외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해외 투자자들이 팬오션에 투자하게 되면 해외 증권사들이 팬오션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팬오션 리서치보고서가 글로벌 IB시장에 유통되면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 관계자는 "팬오션은 아직 해외 증권사들이 커버를 안 하기 때문에 글로벌 리서치보고서가 안 나온다"며 "굉장히 좋은 회사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에 잘 안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투자자들이 팬오션 주주로 등재되면 해외 증권사들도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이번 해외 매각은 JKL파트너스의 팬오션 지분 전량 매각을 위한 사전 작업의 일환이다. 사모펀드(PEF) 특성상 JKL파트너스는 향후 팬오션 지분을 모두 매각해야 한다. 그 시점에 투자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사전에 준비작업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이 관계자는 "이번 블록딜을 통해 JKL파트너스는 향후 보유 지분 전량 매각을 위한 사전 작업을 모두 마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투자원금을 회수하며 기다릴 수 있는 여력을 만들었고, 잠재적 투자자풀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확대해 이익실현의 가능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 신한리츠운용, 알파·서부티엔디리츠 투자 콘셉트 확정
- 롯데건설, '마곡 르웨스트' 재분양 속도 낸다
- [건설리포트]GS건설, 하반기 수익성 제고 '정조준'
- [CAPEX 톺아보기]㈜신세계, 현금창출력 초과한 투자 집행…'성장' 방점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제약바이오 R&D 인사이더스]비보존 후속 자신감 원천, "R&D 전주기 아우르는 시스템"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현대차, 주주환원 의지 재확인…속도는 '조절'
- 현대차, 미국 관세리스크 대응 '총력전'
- [감액배당 리포트]한일홀딩스, 자본잉여금 100% 활용 ‘비과세 배당’ 올인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
- [GM·르노·KGM 생존기]추가물량 배정받은 한국GM, 흑자행진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