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8년 08월 13일 07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창동민자역사 앞날에 희미한 불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지난 달 26일, ㈜창동역사는 HDC현대산업개발을 조건부 인수계약 체결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낙점했다. 구속력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제 막 협상 테이블에 앉은 당사자들은 어느 때보다 의욕적이다.시뻘건 콘크리트 뼈대만 앙상히 드러낸 채 방치된 세월만 8년. 창동민자역사는 도봉구 주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애물단지였다. 더군다나 청산가치는 0원, 존속가치는 측정 불가능이란 처참한 진단표까지 받아들었다. 이를 살려보겠다고 나선 곳이 바로 HDC현대산업개발이다.
결코 녹록지 않아 보인다. 당장 눈앞에 맞닥뜨린 과제가 수두룩하다.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수분양자 보상 문제, 공사장 유치권을 행사 중인 최대 채권자 ㈜효성, 기존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로 얽히고 설킨 채권관계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HDC현대산업개발 혼자 힘으론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결국 관건은 창동민자역사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다.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할 당면과제는 뿔뿔이 흩어져 있는 수분양자들이 하나의 단체로 통합되는 것이다. 현재 수분양자들은 창진모(창동 진성계약자 모임), 비상대책위원회, 창동계약자총협의회로 쪼개져 불필요한 반목을 일삼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불협화음이 자칫 창동민자역사 회생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점이다. 채권자들의 회생계획안 동의를 이끌어야 할 HDC현대산업개발 입장에선 여간 부담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인수 관련 제반비용을 모두 지불하고도 막판 채권자들의 변심으로 딜이 무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채권자 도움이 절실하다.
도봉구청과 서울시도 뒷짐 지고 관망만 해서는 안 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손실을 무릅쓰고 창동민자역사를 인수하지 않는다. 관할 지자체가 해결하지 못해 방치된 창동민자역사가 민간으로 넘어간 만큼, 필요하다면 법적·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가령 창동민자역사의 용적률(대지면적에 대한 건축연면적 비율)은 120%로 알려졌다. 창동민자역사가 위치상 일반 이종주거시설로 분류된 데 따른 조치다. 중공업지역으로 분류됐었던 과거에는 용적률이 400%까지 허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용적률 기준이 완화된다면, 회생방안의 선택지도 많아진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HDC현대산업개발에게 주어진 협상 기간은 최소 3개월에서 최대 5개월이다. 저마다의 셈법을 주장하고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HDC현대산업개발이 어떻게 풀어 나갈지 시장은 '기대 반', '걱정 반'이다. 창동민자역사가 생사의 갈림길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