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젤Ⅲ 직면한 신규 인터넷은행, 자본 부담은 BIS비율 13~14% 이상 맞춰야…설립 후 3~5년 적자 각오
원충희 기자공개 2019-01-28 07:25:00
이 기사는 2019년 01월 24일 11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번에 신규 인가를 받는 인터넷전문은행은 2020년 출범이 예상되고 있다. 3년의 여유기간이 있었던 케이뱅크, 카카오뱅크와 달리 설립하자마자 바젤Ⅲ 등 각종 자본규제가 적용된다. 신설 후 3~5년 간 적자가 예상되는 점을 감안하면 기존 사업자들보다 체감적인 자본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24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오는 3월 중에 제3, 제4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일괄 접수할 예정이다. 예비인가 심사결과는 5월에 발표된다. 본인가는 예비인가 1년 후를 전후해 2020년 1~2분기 중에 진행될 계획이다.
이런 절차를 감안하면 신규 인터넷전문은행이 본격 출범하는 시기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로 예상된다.
문제는 바젤Ⅲ를 비롯한 각종 은행자본 규제가 2020년부터 단계적으로, 2023년부터 전면 적용된다는 점이다. 지난 2017년에 출범한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바젤Ⅰ을 적용받으면서 3년의 여유기간을 얻었지만 신규 인터넷전문은행은 그렇지 못한 상황에 처해진다.
바젤Ⅲ가 시행되면 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에 맞춰 총자본비율 8% 이상, 기본자본비율 6% 이상, 보통주자본비율 4.5%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손실보전 완충자본과 가계대출부문의 경기대응 완충자본을 확보할 의무도 주어진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신설되는 인터넷전문은행들에겐 바젤Ⅲ를 비롯해 은행이 받는 자본규제가 모두 적용될 것"이라며 "최저BIS비율, 손실보전완충자본, 경기대응완충자본 등을 고려하면 13~14% 이상을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바젤Ⅲ는 이전 자본규제에 비해 강도가 그리 세진 않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가볍게 볼 여건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이번 신규 인가심사에서 중점으로 보는 부분 중 하나가 서민금융, 중금리대출 등 중·저신용자에 대한 기여여부인데 이는 위험가중치가 높은 상품들이다. 자본비율이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으로 산출되는 점을 고려하면 자본적정성에 부담이 큰 자산이다.
아울러 인터넷전문은행은 출범 후 3~5년은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출범 첫해 1000억원 수준의 당기순손실을 냈으며 케이뱅크도 지금까지 자본잠식 상태다. 초반 사업기반 구축에 드는 비용은 상당한 반면 수익성은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탓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번에 인가 받을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케이뱅크, 카카오뱅크와 달리 여유기간이 없는 만큼 자본관리 부담이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주주사들의 지원여력과 자본조달 계획이 그만큼 중요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니타스 인수한다
- 전동규 서진시스템 대표, 'FI 풋옵션 대비' 3000억 펀딩 추진
- 도미누스, '적자 지속' 건화 담보권 실행 절차 돌입
- 옐로씨매니지먼트, 생성형 AI 기업 '제논' 2대 주주 등극
- 한투파PE, 오아시스 지분 매각 하이라이트 '고수익성'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뉴엔AI road to IPO]공모자금 연구개발 집중 '글로벌 진출'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