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일뱅크, 영구채 '한 번 더'…재무구조 개선 목적 [Deal Story]1300억 규모, 부채비율 관리 안간힘…공제회 등 투자자군 형성
이지혜 기자공개 2020-09-28 14:20:49
이 기사는 2020년 09월 25일 08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오일뱅크가 상반기 영업적자에도 무난히 신종자본증권(영구채)을 발행했다. 12월 만기가 돌아오는 영구채에 대응하고 부채비율 등 재무건전성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정유업황 전망이 밝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3월 이어 두 번째 발행, 재무구조 개선 목적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현대오일뱅크가 24일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모두 1300억원 규모다. 발행일로부터 5년 뒤 조기상환할 수 있다는 콜옵션이 붙었다. 대표주관업무는 하이투자증권이 맡았고 키움증권이 인수업무를 담당했다.
이로써 현대오일뱅크가 올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은 모두 4100억원이 됐다. 현대오일뱅크는 올해 3월에도 신종자본증권을 2800억원 규모로 발행했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올해 12월 콜옵션 행사 시점이 돌아오는 신종자본증권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며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말했다.
현대오일뱅크는 2015년 2250억원 규모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는데 당시 5년 뒤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었다. 여기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올해 3월에 이미 신종자본증권을 2800억원 규모로 발행했다. 연간 발행규모가 4100억원에 이르러 영구채 차환하기 위한 자금은 충분히 확보했다.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이번 영구채 발행의 주요 목적인 셈이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리스회계기준이 바뀌면서 부채비율이 높아졌다”며 “부채비율 등 재무구조를 개선하고자 했으며 시장상황이 좋지 않은데도 성공적으로 발행됐다”고 말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연결기준 순차입금이 2015년 말 1조7051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말 5조2990억원으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도 95%에서 169.5%로 높아졌다. 2019년 리스회계기준이 바뀌면서 리스부채가 4000억원 이상 계상됐고 1분기 대규모 영업적자를 낸 탓이다.
문제는 당분간 재무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한국신용평가는 “2조7000억원 규모의 HPC(Heavy Feed Petrochemical Complex) 프로젝트 투자가 2021년까지 진행되면서 외부차입이 확대될 것”이라며 “SK네트웍스가 운영하던 주유소를 현대오일뱅크가 새로 임대운영하면서 이와 관련한 리스부채 규모도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투심 ‘이상 무’, 조달금리 높아져
그러나 투자심리는 양호했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올해 2분기 흑자전환한 유일한 정유사”라며 “공제회 등을 중심으로 투자자 기반이 형성됐다”고 말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32억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결코 많은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등 정유 4사 가운데 유일하게 흑자를 낸 정유사라는 데 의미가 있는 평가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비중동산 초중질원유 비중을 확대하고 국내 최고 수준의 고도화공정을 통해 경유제품을 생산한 덕분이다. 신용등급도 AA-로 우수하다.
다만 조달금리는 올해 상반기에 자금을 조달할 때보다 다소 높아졌다. 3월 발행한 영구채의 표면이율은 3.5%였지만 이번에는 3.65%로 책정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 신한리츠운용, 알파·서부티엔디리츠 투자 콘셉트 확정
- 롯데건설, '마곡 르웨스트' 재분양 속도 낸다
- [건설리포트]GS건설, 하반기 수익성 제고 '정조준'
- [CAPEX 톺아보기]㈜신세계, 현금창출력 초과한 투자 집행…'성장' 방점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제약바이오 R&D 인사이더스]비보존 후속 자신감 원천, "R&D 전주기 아우르는 시스템"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OOP, '규제·업황·비용' 탓 목표주가 '뚝'
- 두비덥, 보컬 커스터마이징 특허 '완료'…K팝 팬덤 정조준
- [thebell interview/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의 이머시브 콘텐츠 '관객이 주인공 되는 시대'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B2C 진출' 바우어랩, 300억 밸류 시리즈B 도전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 이머시브 콘텐츠로 엔터산업 '새 지평'
- [강소 콘텐츠사 톺아보기]두비덥, 사업 개시 3년 만에 흑자 '공공 도서관 뚫었다'
- 하이브, 바이너리코리아 정리…게임·AI오디오 '집중'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SLL중앙 기대감' 콘텐트리중앙 CB 발행 순풍
- 카카오엔터, 스토리사업 대통합…신임 부문장에 박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