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사분석]사조산업, 공모채 완판 도전…'주문량 제로' 오명 벗는다3년 단일물 200억 모집…금리밴드 최상단, 작년보다 40bp 낮아
남준우 기자공개 2021-06-17 13:02:22
이 기사는 2021년 06월 16일 14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조산업(A-, 안정적)이 올해 첫 공모채 수요예측을 치른다. 탄탄한 사업구조와 안정적인 신용도에도 불구하고 작년엔 코로나19로 A- 등급에 대한 투심이 악화되며 단 한 건의 주문도 받지 못했다. 올해는 시장 상황이 좋은 만큼 완판은 무리가 없다는 평가다.◇'원양어업' 변동성, '식품가공·레저'가 상쇄
사조산업은 오는 17일 공모채 200억원 모집을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트렌치(만기구조)는 3년 단일물이며 KB증권이 대표주관 업무를 맡았다. 오는 25일 발행해 이달말 만기가 도래하는 공모채 차환에 사용할 예정이다. 증액 구간은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
사조산업은 1971년 설립된 사조그룹의 주력 계열사다. 원양어업을 비롯해 식품가공, 축산, 골프장 운영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최대주주는 2021년 1분기말 기준 지분 26.12%를 보유하고 있는 사조시스템즈이다.
주력 사업은 원양어업이다. 어획량 기준으로 연승참치(횟감용) 1위, 선망참치(통조림용) 2위의 시장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원양어업 부문은 어가와 어획량 변동에 따라 매출 실적이 바뀐다. 2019~2020년 동안 어가가 크게 하락하며 원양어업 부문에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어획량이 전년 대비 73%나 감소하면서 2019년(-22억원) 대비 적자 폭이 약 10억원 더 커졌다.
원양어업 실적 변동성을 식품가공과 레저 부문이 상쇄하며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다. 식품가공 부문은 2016년 이후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19에도 내식 수요 확대에 따라 수산물캔, 육가공 등에서 판매실적이 견조한 덕분에 수익성이 양호하다.
2019년 이후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의 영향으로 원재료 가격이 올라 영업이익 폭이 다소 감소했지만 사업 부문별로 봤을 때 가장 큰 흑자(98억원)를 내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경기도 하남시 캐슬렉스서울 등에서 골프장 운영을 하며 평균 3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고 있다.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가져가며 신용평가사의 일부 등급 상향 트리거를 충족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등급 상향 트리거로 'EBITDA/매출액 13% 이상', '순차입금의존도 30% 이하' 등을 제시했다.
사조산업은 사조씨푸드 지분 매각으로 받은 73억원의 상당 부문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했다. 순차입금의존도가 2020년말 기준으로 전년 대비 4.6%p 떨어진 27.6%를 기록했다.

◇개별민평 대비 '-30~+30bp' 제시
탄탄한 사업구조와 안정적인 신용도를 가지고 잇었지만 작년에는 코로나19로 사상 첫 미매각 경험했다. 영위하고 있는 식품업이 코로나19 영향권 밖임에도 A- 등급에 대한 투심이 악화된 것이 주된 이유였다.
사조산업은 작년 6월 공모채 200억원 모집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했지만 단 한 건의 주문도 받지 못했다. KB증권과 인수단으로 참여한 산업은행이 각각 120억원, 80억원씩 미청약분을 인수했다.
A- 등급은 한 노치만 떨어져도 하이일드급인 BBB+ 등급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투자자들이 더 기피했다. 다만 올해는 시장 상황이 좋은 만큼 완판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평가다.
사조산업은 금번 공모채 가산금리밴드를 사조산업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금리 대비 '-30~+30bp'로 설정했다. 금리밴드 최상단을 개별민평 대비 +70bp로 설정했던 작년보다 여유로운 모습이다.
한국자산평가, 키스채권평가 등 국내 4대 신용평가사가 책정한 사조산업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금리는 최근 2.58% 수준이다. A- 등급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금리보다 약 3bp 가량 높다.
금번 차환 대상인 2018년 발행했던 3년물 공모채 금리는 3.009%다. 수요예측에서 금리 밴드 최상단을 찍더라도 조달 금리를 일정 부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DN솔루션즈 IPO]철회 배경에 '과한 밸류에이션·구주매출' 영향 컸나
- KT클라우드 "소버린 AI? 데이터 주도권이 핵심"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상장 관건 밴드내 수요 집결…'하방압력' 이겨낼까
- [Company Watch]'예상 밖 선방' 삼성전자, MX사업부 '압도적 기여'
- [IR Briefing]삼성전자, HBM 사업 1분기 '저점'·2분기 '반등'
- KT클라우드, 공공 넘어 민간 영역 '도전장'
- [IR Briefing]삼성전자, 파운드리 정상화…'엑시노스' 본격 양산
- [Company Watch]골프존, 저무는 국내 시장에 해외로 돌린 눈
- [Company Watch]한화비전, 수출액 3000억 돌파 '북미 공략 적중'
- [감액배당 리포트]엘앤씨바이오 밸류업 시동…감액배당 순기능 표본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P&Earning]'8.2% 수익률' 행정공제회, 환헤지 축소 전략 빛났다
- 태권보이의 PE 도전기
- [경찰공제회는 지금]역대 최대 순익냈지만, 투자 성적표 신뢰도 '글쎄'
- [경찰공제회는 지금]'공석 1년 이상' 주요 임원직, 선임 최대 변수 '경찰청'
- 'SK스페셜티 인센' 본 SK실트론, 한앤코 인수 반길까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사회 역할' 운영위원회, 조직 개편 나선다
- [영상]실트론까지 인수할까…리밸런싱 나선 SK와 한앤컴퍼니 밀월관계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영상 이사장 선임 완료, 주요 임원 선임 속도낼까
- '매각 난항' 한양증권, 원점 재검토 가능성 높아지나
- 원동일 에스아이플렉스 대표, 웰투시에 1000억 '재투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