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현 롯데케미칼 사장 "수소시대 빨리 열릴 것" [H2 비즈니스 서밋]앞서 4.4조 투자 계획 밝혀 "계획대로 잘 하고 있다"
조은아 기자공개 2021-09-09 08:03:17
이 기사는 2021년 09월 08일 13:1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이 “생각보다 수소경제 시장이 빨리 열릴 것으로 본다”며 “롯데케미칼도 잘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8일 오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H2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한 김교현 사장은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수소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롯데케미칼이 다가올 수소시대에서 할 역할에 대해서는 “앞서 수소사업에 대한 큰 계획을 밝혔는데 현재 계획한 대로 잘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 시간을 훌쩍 넘겨 진행된 수소기업협의체 회의에서 어떤 얘기가 오갔냐는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이날 롯데그룹뿐만 아니라 현대자동차그룹, SK그룹, 포스코그룹 등 주요 그룹이 주축이 된 수소기업협의체가 공식 출범했다. 그동안 ‘수소시대가 과연 열릴까’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면 이번 협의체 출범을 통해 수소시대에 한발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행사에 참여해 롯데그룹의 수소사업에 힘을 실어줬다.
앞서 7월 롯데케미칼은 수소사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2025년까지 2조원을 투입하고 2030년까지 2조2000억원을 투입해 모두 4조4000억원을 수소에 투자하기로 했다. 수소사업에서 롯데케미칼의 기대 매출은 2025년 6000억원, 2030년에는 3조원이다. 3조원이면 현재 매출의 3분의 1 수준이다.
롯데케미칼은 우선 2024년 울산에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운영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액체 수소충전소 50개를 구축하고 2030년에는 복합충전소를 200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그레이수소 위주 생산에서 벗어나 오는 2030년까지 60만톤의 청정수소를 생산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내년 상반기까지 수소 저장 용기를 양산하기 위한 시험 설비를 구축한다는 구체적 계획도 밝혔다. 앞서 밝힌 4조4000억원 규모 투자의 일환이다. 이번 설비는 롯데알미늄 인천공장 부지에 1488㎡ 규모로 조성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주총 불참' 구미현, 공동지분 매각 조항에 발목 잡혔나
- 전진바이오팜 유한양행 대상 18억 유증
- '수요예측 흥행' 영창케미칼, 공모가 상단 1만8600원
- [ESG위원회 중간점검]ESG에 진심인 기아, 재계 평균 2.9회 웃도는 6회
- 지놈앤컴퍼니의 '집단 경영' 도전, 밸류 재평가 기대
- 12개로 늘어난 테슬라의 눈…삼성-LG의 '윈윈' 전략
- [게임업계 번진 ESG 물결]카카오게임즈와 컴투스, 모회사와 '따로 또 함께'
- LG전자 '애플망고' GS와 공동 인수한 이유
- '자체 앱' 승부수 띄운 그라운드X, 카톡 의존도 줄인다
- 경동나비엔, 전직 CEO 사외이사로 '역할 전환'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SDI가 움직인다]배터리 삼국 시대, '재무통' 최윤호 사장의 역할은
- [삼성SDI가 움직인다]다시 원통형으로? 테슬라 4680배터리 주목
- 일진머티리얼즈 흥행 먹구름, LG화학도 불참 가닥
- [삼성SDI가 움직인다]'기술 초격차' 강조, 연구개발비 배터리 3사 중 최다
- [삼성SDI가 움직인다]'질적 성장론' 언제까지 유효할까
- [이사회 모니터/SK㈜]경영계획 및 KPI 수립도 ESG에서 맡는다
- [삼성SDI가 움직인다]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작심 발언, 배터리 사업 함의는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의 무기 '조인트벤처'
- SK온과 손잡은 포스코그룹, 협력관계 어디까지?
- 티케이케미칼, 돌고돌아 다시 '내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