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소재사업단 꾸린 롯데케미칼, 차세대 배터리 시장 겨냥 소일렉트와 미국에 리튬메탈 음극재 공장 설립, 2억 달러 규모
김위수 기자공개 2022-04-29 10:36:53
이 기사는 2022년 04월 28일 08:1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은 다른 화학사들과 마찬가지로 배터리 소재를 미래 사업의 한 축으로 보고 있다. 지난 3월 전지소재사업단을 신설하고 약 4조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관련 사업에서 매출 5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영준 첨단소재사업 대표가 단장으로 사업단을 이끌고 있다.롯데그룹 화학HQ(헤드쿼터)는 리튬이온배터리에 들어가는 4대 소재에 이미 발을 걸쳐놓은 상황이다. 이 가운데 롯데케미칼 전지소재사업단은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중점을 두고 미래 시장을 겨냥해 투자활동을 펼치고 있다.
전지소재사업단 설립 후 처음 발표된 사업은 전고체 배터리용 리튬메탈 음극재 생산설비 구축이다. 미국 스타트업 '소일렉트(SOELECT)'와 총 2억 달러(약 2500억원)을 투자해 현지에 기가와트(GWh)급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양사는 이를 위해 지난 26일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최근 발표한 롯데케미칼의 배터리 소재 관련 사업은 미래에 집중된 경향을 보인다. 롯데 화학HQ에서 진행 중인 리튬이온배터리 소재 사업을 벗어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이루려는 뜻으로 보인다. 지난 1월 투자한 스탠다드에너지도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바나듐 배터리 제조사다. 당시 롯데케미칼은 650억원을 투자해 스탠다드에너지의 지분 15%를 확보했다.
롯데케미칼 측은 "향후 친환경차 수요 증가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대비해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투자 및 육성을 진행할 것"이라며 "전기차-배터리–소재로 이어지는 서플라이 체인(Supply chain)의 핵심회사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롯데정밀화학은 음극재에 쓰이는 음극박(동박) 사업을 진행하는 솔루스첨단소재에 2900억원을 투자했다. 솔루스첨단소재에 투자하고 있는 사모펀드 스카이스크래퍼 롱텀 스트래티직 사모투자 합자회사를 통해서다. 또 롯데알미늄은 양극재에 사용되는 양극박을 생산 중이다.
이영준 전지소재사업단장은 "전기차 수요증가 및 배터리 수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을 중심으로 미래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마이더스AI, 특수강 전문 '제이슨앤컴퍼니' 인수 완료
- [thebell interview]길현범 빌랑스인베 대표 "출자 사업 꾸준히 도전"
- 세종메디칼 "제넨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3상 투약"
- [Company Watch]'꾸준한 투자' 시노펙스, 성장 불씨 지폈다
- '벤처기업부 승격' 대동금속, 20%대 매출 신장 '눈길'
- 예보, 우리금융 2.3% 매각…공적자금 '완전한 탈피' 눈앞
- 영풍제지 매각, 본입찰 후 개별협상 돌입
- 선매 지위 가진 멜론운용, '준공 전' 이천·여주 물류센터 판다
- ABL바이오, 업프론트 900억 회계 처리 방법은
- 수의학도가 설립한 VC, 펫보험·비만치료제 등 투자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태광그룹 화섬 계열사도 이사진 교체
- [구본준의 승부수]시험대 오른 '후계자' 구형모...외형 성장의 이유
- 한일시멘트그룹 창업주 딸 허미경씨, 특별관계자 제외
- [구본준의 승부수]매물 기다리는 LX, 현금 비축하며 투자 준비
- [구본준의 승부수]"1등 DNA" LX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
- 한솔에 안긴 테이팩스, 탄탄해진 재무여력
- [포스코케미칼의 변신]2030년 배터리소재 점유율 20% 목표...신사업 인재 포진
- [포스코케미칼의 변신]LG·GM 끈끈한 관계...글로벌 1등 앞으로
- [포스코케미칼의 변신]늘어나는 투자, 순항하는 자본조달
- [포스코케미칼의 변신]존재감 키우는 배터리 소재, 글로벌 점유율 20%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