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제너셈, 한미반도체 특허소송 부담 털었다11억원 소송가액의 7%만 인정 판결, 배상금·이자 9천만원 수준…재무제표상 인식 완료
구혜린 기자공개 2022-08-18 09:11:09
이 기사는 2022년 08월 16일 16:1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제조사 '제너셈'이 한미반도체가 제기한 기술특허소송 관련 손해배상액 부담을 털었다. 제너셈도 일부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지만 배상액이 한미반도체의 주장한 금액의 단 7%에 그쳐 경영상 타격을 면했기 때문이다.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너셈은 올해 2분기 재무제표상 1094만원을 소송충당부채환입액으로 인식했다. 재판 결과가 나오기 전에 인식해둔 소송충당부채에서 실제 확정된 소송 관련 비용을 빼고 남은 액수를 플러스(+)로 인식한 것이다.
이 같은 회계처리는 한미반도체가 제너셈에 제기한 민사소송 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진행했다. 한미반도체는 지난 2020년 3월 반도체 후공정 장비인 '쏘우 싱귤레이션'(한미반도체 측 제품명은 '비전플레이스먼트') 특허침해에 대한 책임을 묻고자 제너셈에 11억원 상당의 손해배상 소송(사건번호 2020가합517962)을 청구했다.
재판부는 한미반도체 측 주장의 일부만을 인정했다. 소송 제기 후 약 2년이 지난 6월 제너셈에게 8000만원을 한미반도체에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당초 한미반도체가 주장한 배상액의 1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배상액에 대한 이자율 역시 한미반도체는 연간 12%를 요구했으나, 재판부는 소장 송달일부터 판결일까지 5%만 지급하란 결론을 내렸다.
한미반도체가 1심 결과에 대한 항소를 포기하면서 손해배상소는 일단락됐다. 판결이 나온 직후 제너셈은 한미반도체가 항소할 수 있단 것을 예상하고 반소를 준비했다. 손해배상 법정 공방이 장기화될 수 있었으나, 올 상반기 마무리돼 홀가분하다는 눈치다.
재판부는 한미반도체가 주장한 배상액이 터무니없이 크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재판부는 양측의 합의를 유도하면서 1억원 미만의 배상액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제너셈은 2020년 소송충당부채(미지급금)로 1억원을 회계장부에 인식했다. 판결 확정으로 한미반도체에 8900만원만 물어주게 되면서 2분기 소송충당부채환입액을 기입했다.
남은 판결도 이 민사소송 결과와 비슷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미반도체는 지난해 1월 제너셈에 쏘우 싱귤레이션 등 특허에 관한 무효소송(2021가합501155)을 청구했다. 앞선 민사소송과는 별도로 심리가 진행되고 있다. 늦어도 내년 초엔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제너셈은 해당 소송은 특허 무효화가 쟁점으로 앞선 민사소송보다 중요성이 낮단 입장이다. 한미반도체는 쏘우 싱귤레이션 등 제품 전량 폐기와 더불어 12억원 상당의 배상을 제너셈에 청구했다. 그러나 제너셈은 이 소송에 대해선 충당부채도 별도로 인식해놓지 않은 상태다. 특허의 고유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과 한미반도체가 입은 피해를 연결해 증명하기 어려울 것이란 판단이다.
제너셈 관계자는 "시장조사 및 문헌을 바탕으로 우리의 독자적인 기술을 인정하지 못하겠단 취지의 소"라며 "한미반도체가 문제 삼는 특허 항목에 대해선 이미 정리를 끝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기홍 JB금융 회장 "얼라인과 언제든 만나고 소통"
- [Korean Paper]현대캐피탈아메리카, 글로벌본드 25억달러 발행
- [Korean Paper]광해광업공단 '유로본드' 6배 수요 몰렸다
- JB금융 주총 분전 얼라인 "표대결 승패 중요치 않다"
- JB금융 주총 현장 '김기홍 vs 이창환' 매치업 성사
- '검투사' 김기홍 JB회장, 의장 마이크 잡고 '정면돌파'
- 원유현 대동 대표 재선임…'글로벌 하이테크 기업' 도약
- 폴라리스오피스, 모바일 백신 '브이가드 시큐원' 출시
- [로펌 부동산팀을 움직이는 사람들/thebell interview]"부동산 PF 위기? 100점 만점에 40점"
- 코오롱, 흡수합병 플랫바이오 기업가치 리레이팅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솔브레인, 반도체 역대급 수주에도 웃지 못한 이유는
- 스와니코코, 시카 성분 함유 선크림 출시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ESG 취약' 티에스이, 지배구조만 양호한 이유는
- 케이피에스 "자회사 세기리텍 작년 영업익 37% 증가"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티에스이, '아픈손가락' 자회사 처리법 '청산 or IPO'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4년 만에 역성장' 티에스이, D램용 프로브카드 묘수될까
- GTF "자회사 엘솔루, 코트라에 AI 번역솔루션 공급"
- [코스닥 CB 프리즘]마인즈랩, 유태준 대표 지배력 강화 길 열렸다
- [코스닥 CB 프리즘]'첫 자금조달' 마인즈랩, 금리 1% 셋팅 '주가 자신감'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