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M&A]대우조선해양 이사회의 '유보' 의견, 의미는?이사 7명 중 1명이 유보 의견...이사회 사전 정보 미공유 가능성
조은아 기자공개 2022-09-29 07:36:40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8일 08:0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해양 이사 한 명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유보' 의견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단어 그대로 결정을 다음으로 미루겠다는 의미로 사실상 이번 이사회의 결정에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이유를 놓고는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우선 대우조선해양 이사진에게 계약 내용이 충분히 공유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우조선해양은 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다. 매각 주체는 KDB산업은행, 인수 주체는 한화그룹인 만큼 매각 논의에서 정작 대우조선해양은 목소리를 내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산업은행이 가격보다는 속도를 강조하면서 계약 조건이 한화그룹에게만 유리해졌다는 비판 역시 가능해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은 26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사무소 및 옥포 지원센터 보드룸에서 화상회의 방식으로 이사회를 열었다. 이사 7명 전원이 참석해 △투자합의 체결 승인의 건 △인수인(한화그룹)들에 대한 조건부 투자예정자 지정 승인의 건 △제3자 유상증자 승인의 건 △경쟁입찰 실시 승인의 건 △권한의 위임 건 등을 표결에 부쳤다.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는 박두선 대표이사 사장이 심의를 요청하고, 이사들이 담당임원의 보고를 들은 뒤 결의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7명 가운데 6명은 찬성표를 던졌고 나머지 1명은 유보 의견을 냈다. 유보 의견을 낸 1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특히 반대가 아닌 유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이사들 사이에서 매각 안건은 물론 산업은행과 한화그룹의 계약 조건 등이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거나 논의 과정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대우조선해양 매각은 지난 6월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취임 이후 추진되기 시작해 8월 중순부터 급물살을 탄 것으로 전해진다. 사실상 한 달 만에 거래 구조가 모두 짜이고 산업은행, 한화그룹 각 계열사 이사회, 대우조선해양 이사회를 거쳐 최종 결정까지 내려진 셈이다. 특히 계약 조건 등은 전날까지 철통 보안 속에 극소수 관계자들에게만 공유됐던 것으로도 전해진다.
대우조선해양 이사회의 경우 소집하려면 회의일 전날까지 각 이사에게 소집을 서면 또는 구두로 통지하면 된다. 미리 이사회 소집이 정해졌다 하더라도 계약 조건 등에 대해 이사들이 미리 알았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관측이다.
대우조선해양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과 사외이사 4명으로 이뤄져 있다. 사내이사는 박두선 대표이사 사장, 우제혁 부사장, 이영호 지원본부장이다. 이들이 유보 의견을 냈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대우조선해양에 오랜 기간 몸담은 인물들로 한화그룹과의 계약 내용을 이미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뒤늦게 알았다고 하더라도 내부 인사인 만큼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결정에 유보 의견을 내기는 쉽지 않다.
유보 의견은 사외이사가 냈을 가능성이 높다. 사외이사 4명은 모두 올해 신규 선임된 인물들이다. 모두 현직 교수라는 점도 눈에 띈다. 김보원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 김인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송민섭 서강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최경규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등이다.
사외이사 가운데 대우조선해양과 관련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온 인물은 김보원 교수다. 김 교수는 예전부터 대우조선해양을 향해 여러 차례 쓴소리를 뱉어왔다. 그는 라디오에 출연하거나 컬럼 기고를 통해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의 안일한 구조조정 태도를 작심 비판하기도 했다.
이밖에 김인현 교수는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장을 지낸 경험이 있고 송민섭 교수는 기획재정부 공기업 평가위원을 지냈다. 최경규 교수는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위원을 지낸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JTC, 관리종목 탈피 '청신호', 흑자전환 ‘총력’
- [공모주 수요예측 어디로]‘따상' 대신 '따따블'..."빠른 균형가격 발견 기대"
- DB금투·BNK증권, 장기CP '364일물' 선택한 까닭은
- 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美 에너지사업 총괄하는 패스키, 유정준 부회장 역할 확대
- [동국제강을 움직이는 사람들]'럭셔리 스틸' 탄생 일등공신 박상훈 전무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포스코케미칼-삼성SDI의 만남, 협력관계 어디까지?
- [에코프로 인사이드]수직계열화의 '부메랑', 높은 내부거래 비중 눈길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제철, 주주환원 확대·차입금 축소 '딜레마'
- [최정우호 키맨 지형도 변화]포스코케미칼 만든 일등공신 민경준 사장은 왜 떠났을까
- [닻오른 HMM 매각]인수후보 일순위 포스코그룹, 현실화 가능성은?
- [최정우호 키맨 지형도 변화]'요직' 재무실장 출신 윤덕일 부사장, 포스코케미칼행 의미는
- [최정우호 키맨 지형도 변화]임기 1년 남기고 더욱 막강해진 최정우 리더십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4년만에 두산 출신 대표 선임
- 최은영 유수홀딩스 회장, 한진그룹과 인연 완전히 끝
- 현대차그룹,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합작회사 만들었다
- [현대차그룹 CEO 인사 코드]현대글로비스, 역대 대표이사 모두 현대차 출신
- [UAE 경제사절단 리포트]중동으로 떠나는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원전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