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임원승진 인사로 본 대형DP·오토 사업 의미 대형 디스플레이 점유율 21% 회복, 차량용 OLED 수주 대폭 증가
원충희 기자공개 2022-11-25 12:51:39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4일 16:5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디스플레이가 승진자를 여럿 배출했다. 미래사업 준비와 비즈니스 근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그 중 대형 디스플레이 산업과 관련한 분야에 승진자가 많다.이는 LG디스플레이가 불황 속에서도 9인치 이상 대형 디스플레이 점유율 확대에 성공한 영향이다. 지난해 19%대로 떨어진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이 올해 21%대로 회복하면서 기반을 다지고 있다. 특히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차량용 시장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14명 임원승진 인사 단행
LG디스플레이는 24일 전무 승진 3명, 상무 신규 선임 11명 규모의 '2023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 대형 OLED의 프리미엄 TV 시장 내 입지 강화에 기여한 김광진 대형영업/마케팅그룹장(상무)과 구매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사 구매 프로세스 선진화를 이끌어온 박진남 구매그룹장(상무), 자원 투입 등 경영관리 프로세스 체계 고도화에 기여한 임승민 경영관리그룹장(상무)가 각각 전무로 승진했다.


또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제품 기술 차별화로 사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한 김병훈 오토 제품개발2담당, 제조공정 자동화를 통해 운영 효율성 및 제조 디지털전환(DX) 경쟁력을 끌어올린 오준탁 제조 DX담당 등 각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한 11명이 상무로 신규 선임됐다.
LG디스플레이는 3분기 7593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연간 적자 위험이 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4명 규모의 승진인사가 나온 것은 그 와중에도 성과를 인정받을 분야가 있다는 것이다.
우선 돋보이는 곳은 대형 디스플레이 부문이다. 김광진 신임 전무를 비롯해 성낙진 대형 제품개발2담당, 황상근 대형1담당이 승진자 명단에 올랐다. LG디스플레이는 9인치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이 2020년 21.4%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19.9%로 주저앉았다가 올 3분기 말 21.1%로 회복됐다. 특히 TV에서 21.7%였던 점유율이 24.7%로 치솟았다.
중소형 OLED에 초점을 맞추는 삼성디스플레이와 달리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의 강자로 꼽힌다. 특히 TV와 모니터 시장이 어려운 와중에도 대형 OLED의 성과는 여러 승진자 배출로 이어졌다.
◇차세대 오토 OLED 확대, 수주금액 40% 이상 성장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로 밀고 있는 OLED는 차량용으로도 확대 중이다. 현재는 벤츠와 GM 등에 OLED 패널을 공급하는데 전체 오토 수주 가운데 OLED 비중은 지난해 30% 수준에서 올해 45%로 늘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크기 자체가 커지고 자동차 한 대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 개수도 늘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주력하고 있는 10인치 이상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과 함께 차량용 OLED 시장도 선제적으로 공략 중이다.
LG디스플레이의 오토 수주는 2020년 2조원에서 작년과 올해 4조~5조원대로 대폭 성장했다. 올해 수주금액은 작년보다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병훈 오토 제품개발2담당의 상무 승진 역시 그런 관점에 이뤄진 인사로 읽혀지고 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이번 임원인사는 미래 준비와 사업의 근본 경쟁력 강화 관점에서 기여가 크고 성과창출 역량이 탁월한 인재를 중용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4년 만에 역성장' 티에스이, D램용 프로브카드 묘수될까
- [코스닥 주총 돋보기]’실적 자신감’ 이루다, 자금조달 채널 확장 추진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티씨케이, '한·일' 무게 중심 변화에도 자율 경영 지속
- M&A 전략 '우선순위' 라온시큐어, 두둑한 곳간 열릴까
- [진격의 중견그룹]AP위성 류장수 대표 지배력 '굳건', 승계는 아직
- 거래소·협단체가 찾는 '코미코', ESG 평가에서 '삐끗'
- [HUG는 지금]미룰 수 없는 임원 교체작업, 난관 곳곳 '포진'
- [상장 리츠(REITs) 대해부]리파이낸싱 숨가쁜 롯데리츠, 배당금 '축소'
- [건설사 SMR 경쟁력 점검]'1000억 투자' 삼성물산, 타깃 대상지 '동유럽'
- '피고인'이지만 '피해자'입니다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 삼성SDI도 뛰어들었다…LFP가 뭐길래
- [SM엔터 경영권 분쟁]하이브, 공개매수 참여해도 경쟁률 영향 '제한적'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 [챗GPT발 AI 대전]삼성·SK가 꽂힌 게임 체인저 'PIM'
- [캐시플로 모니터]하나마이크론, 급증한 차입금에 '영구CB' 묘수
- 삼성SDI, 올해 선보일 '46파이·전고체'에 쏠린 기대
- [챗GPT발 AI 대전]대표 수혜자 SK하이닉스 'HBM3' 기대감 고조
- [SM엔터 경영권 분쟁]카카오 입장문에 담긴 키맨과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