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셋플러스 마케팅팀장 독립, 신생 와이씨운용에 쏠리는 눈 김용찬 팀장·에스티캐피탈 민영찬 운용역, 공동 대표로 합심
양정우 기자공개 2023-01-05 10:10:26
이 기사는 2023년 01월 03일 14:55 theWM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기술사업금융전문회사(신기사) 에스티캐피탈의 운용역과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마케팅 팀장이 의기투합해 신생 와이씨자산운용을 설립했다. 공모펀드 운용사의 마케팅을 이끌던 인사가 독립을 선언한 후 대주주 자리를 꿰찬 하우스여서 헤지펀드업계의 이목이 쏠린다.3일 자산관리(WM)업계에 따르면 와이씨운용은 최근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을 매듭짓고 본격적으로 펀드 론칭 작업에 착수했다. 국내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PBS) 사업자와 접촉해 나가고 있다.
와이씨운용이 법인 설립을 마친 건 지난해 5월이다. 민영찬 에스티캐피탈 전 운용역과 김용찬 에셋플러스운용 전 마케팅 팀장이 공동 대표를 맡고 있다. 민 대표와 김 대표는 모두 무게감있는 지분을 쥐고 있는 대주주다. 다만 1대주주는 민 대표인 것으로 파악된다.
김 대표는 국내 펀드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다. 중앙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석사(MBA)를 마쳤고 금융투자업계에서 20여 년 간 근무했다. 동양종금증권(현 유안타증권)에서 자산관리 업무를 수행하다가 KTB투자증권(현 다올증권)으로 자리를 옮겨 법인 영업을 담당했다. 이후 에셋플러스운용에 둥지를 튼 뒤 리테일과 기관 마케팅을 7년여 간 진두지휘해 왔다.
WM업계 관계자는 "김 대표는 금융투자업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한 게 강점"이라며 "한때 회계법인의 인수합병(M&A) 파트에서 일하면서 자문 업무를 소화해 600억원 규모의 딜을 완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헤지펀드 하우스의 창립멤버로서 마케팅과 상품 기획 등을 소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의 기관 네트워크는 향후 세일즈 측면에서 하우스의 경쟁력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라는 평가다. 일반적으로 헤지펀드 하우스는 주로 리테일 채널을 공략하기에 마케팅 파트에 투자 기관과 접점을 가진 인사가 포진된 경우가 드물다. 이 때문에 기관 네트워크는 기관전용 사모펀드로 상품 외연을 넓히고 개인 고객 일변도에서 벗어나는 데 주효할 전망이다.

와이씨운용은 일단 첫 번째 론칭할 상품으로 공모주펀드를 낙점했다. 공모주펀드는 일반 공모주펀드와 공모주하이일드펀드, 코스닥벤처펀드 등으로 나뉜다. 아무래도 신기사 출신인 민 대표의 트랙레코드를 감안할 때 벤처 기업 투자로 우선배정 혜택을 받는 코스닥벤처펀드를 최우선시할 가능성이 높다.
공모주펀드와 함께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펀드도 향후 핵심 라인업으로 꼽힌다. 신기사 하우스의 경우 비상장투자가 메인 운용 전략이다. 벤처캐피탈은 물론 증권사의 자기자본투자 파트 내지 IPO 부서와 연계해 우량한 비상장사를 발굴하는 게 주요 업무다. 민 대표는 국내 벤처투자 생태계의 전반에 걸쳐 네트워크를 다져온 터라 시장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메자닌 펀드도 검토 대상이다. 상장사의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등 다양한 메자닌 딜에 투자를 벌일 수 있다. 프리IPO 펀드와 메자닌 펀드의 경우 일단 소규모 프로젝트펀드로 스타트를 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 트랙레코드가 꾸준히 쌓일 경우 DS자산운용을 비롯한 대형사처럼 비상장투자 전용 블라인드펀드를 내놓는 게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토피아 "사업다각화 성과 잇도록 노력할 것"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주주 이익 극대화하겠다"
- 비상장 주식 거래, '디깅' 트렌드 타고 약세장에도 성장세
- 6G 기반 닦을 '오픈랜' 생태계 확장 나선 통신 3사
- [챗GPT발 AI 대전]라인, 한일 AI 동맹 속 '아시아 글로벌 테크기업' 포부
- 신약에 진심인 일동제약, 비용 줄여도 R&D 늘린다
- JW중외제약, 아토피 신약 올 하반기 임상 2상 완료 목표
- [제약·바이오 융합의 경제]오픈이노베이션 선구자 '한독', 스타트업 키워 파트너 삼는다
- [캐시플로 모니터]LG전자 실탄 받은 LGD, CAPEX·운영자금 부담 덜었다
- DX&VX 거래재개 키워드 '실적, 한미약품 오너 2세'
양정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코스닥 살리기 vs 공모혜택 과도, 의견 분분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중소벤처기업 자금줄 마를까…조달루트 단절 우려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비상장자산 리스크 점증…일부펀드, 환매 중단 가능성
- UBS와 23년 동행 마침표 하나운용, 새 수장 누가될까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공모주 우선배정 불확실성 불구 시장 인기 '여전'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공모주 우선배정 혜택 압도적…타 펀드로 대체 불가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헤지펀드 설정액 10%, 조단위 썰물 우려 점증
- [인사이드 헤지펀드]시몬느 계열 SP운용, 메자닌 블라인드 펀딩 '시동'
- 한투밸류운용, '사모 메자닌' 펀드 설정 나선다
- 헤지펀드에 문 연 모태펀드…세컨더리 도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