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사장, 최정우 회장과 오랜 인연 주목 '대우 출신' 첫 그룹 CFO...과거 포스코·포스코인터에서 최 회장과 장기간 함께 근무
양도웅 기자공개 2023-01-26 07:45:23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8일 15:27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새로운 경영전략팀장인 정기섭 사장의 이력에서 눈에 띄는 점은 '대우 출신'과 '최정우 회장과 인연'이다. 경영전략팀장은 최고재무책임자(CFO) 역할을 하는 자리로 재무와 회계뿐 아니라 신사업 발굴 업무도 책임진다.위상도 높은 편이다. 전임자인 전중선 사장도 최정우 회장과 함께 공동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최 회장도 CFO 출신으로 회장에 올라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 1위'(월드스틸다이내믹스 선정) 그룹을 6년째 이끌고 있다.
1961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정기섭 사장은 전임자들과 달리 포스코가 아닌 대우 그룹에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첫 외부 출신 CFO가 정 사장인 셈이다. 1985년 대우중공업(현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및 대우조선해양)에 입사한 이후 1996년 대우인터내셔널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알려진다. 대우인터내셔널은 지금의 포스코인터내셔널로 2010년 포스코홀딩스에 인수됐다.
2009년 대우인터내셔널일 때 상무로 승진한 정 사장은 이 시기엔 주로 해외에서 경력을 쌓았다. 상무로 진급했을 때 직책도 우즈베키스탄면방법인 대표였고, 포스코홀딩스에 인수됐을 무렵 직책도 페르가나면방법인 대표였다.
우즈베키스탄과 대우인터내셔널은 돈독한 관계였다. 과거 소련 해체로 독립한 이후 산업 육성이 절실했던 시기에 손을 내민 게 대우인터내셔널이었다. 돈독한 관계의 국가에서 진행하는 사업을 대표할 정도로 정 사장은 대우인터내셔널에서도 인정받는 임원이었던 셈이다.

이러한 이력 때문에 정 사장은 대우인터내셔널이 포스코홀딩스에 인수된 이듬해인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약 2년간 해외관리팀장으로 해외 사업 전반을 챙겼다. 이후 2014년 경영기획실장에 선임되면서 CFO로 가는 코스에 본격적으로 접어들었다. 포스코그룹은 전통적으로 CFO가 재무뿐 아니라 기획 업무도 맡는다.
여기에서 최정우 회장과의 3년 넘게 이어진 동고동락이 시작됐다. 당시 최 회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 기획재부부문장으로 재무회계실과 정 사장이 책임지던 경영기획실 등을 총괄했다. 정 사장의 직속 상사가 최 회장이었다.
2015년 최 회장이 포스코홀딩스 가치경영실장으로 옮겼을 때 정 사장도 포스코홀딩스 재무위원으로 옮겼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2년여간 최 회장은 가치경영센터장으로, 정 사장은 가치경영센터 산하의 국내사업관리실장으로 근무하며 둘은 계속 상하 관계로 호흡을 맞췄다.
최 회장이 가치경영센터장을 맡았을 때 가치경영센터 경영전략실장을 지냈던 임원 중 한 명이 전중선 사장이다. 결과적으로 최 회장은 가치경영센터장을 지낸 시기에 훗날 자신과 함께 그룹을 이끌 공동 대표이사이자 CFO 2명을 낙점했던 셈이다.

이후 2018년 2월 최정우 회장이 포스코켐텍(현 포스코케미칼) 대표이사에 선임된 뒤 5개월 만에 그룹 회장에 오르고, 비슷한 시기 정 사장은 포스코에너지(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에 흡수합병) 기획지원부문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3년 넘게 이어진 둘의 동고동락은 중단됐다.
하지만 지난달 임원 인사에서 최 회장이 전중선 사장 대신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로 있던 정 사장을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팀장으로 불러들이면서 약 5년 만에 둘은 다시 호흡을 맞추게 됐다. 이번엔 CEO와 CFO로다. 최 회장은 CFO 역할을 하는 임원엔 본인이 직접 경험해본 인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 사장은 전임자인 전 사장에 이어 공동 대표이사에 추천될 것으로 관측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루트로닉, 황해령 회장·한앤코 파트너십 기반 '글로벌 톱' 정조준
- 국민연금, PE부문 출자사업 숏리스트 확정 '별들의 전쟁 예고'
- 캠코 출자사업 숏리스트 15곳 낙점 '대격전 예고'
- 산업은행, 상반기 출자사업 숏리스트 18곳 발표
- 푸본현대, 후순위채 복귀전 흥행 '증액 확정'
- HD현대오일뱅크, 수요예측 8배 '오버부킹'
- 상폐 위험 비덴트 3사, 검찰 출신 법조인 영입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네트워크 외길' 강종렬 사장, 무선통신 리더십 공신
- 대한전선, 규정 개정으로 감사위 독립성·권한 다졌다
- '4공장' 시대 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와 공조 강화
양도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CC 생존 재무전략]임원 연봉 '7분의 1'로 줄인 제주항공
- [On the move]'일본 재공략 2년차' 현대차, 현지 관리역량 강화
- [On the move]미국시장 힘싣는 금호타이어, 현지법인 CFO 찾는다
- [LCC 생존 재무전략]'코로나 후유증'은 얼마나 심각했나
- [CFO는 지금]SKIET 오택승 부사장 '모전자전' 그린론 활용
- [조달전략 분석]이차전지 양극재 4사 '같은 점과 다른 점'
- [CFO는 지금]리디 최기석 CFO, 승진 한 달 만에 '이사회 진입'
- [조달전략 분석]'오너'까지 만족한 코스모신소재 전환사채
- [마일리지 재무 분석]OK캐쉬백 활용한 SK에너지, 머핀멤버십으로 직접 관리
- [조달전략 분석]코스모신소재 마주한 두가지 '경고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