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STO 유망주]ST 일찍 뛰어든 '서울거래비상장'…장외 시장 유통 경력 어필⑧지난해 자사주 STO 시도 경험…블록체인 기술 기업과 협업 진행
노윤주 기자공개 2023-03-31 12:54:59
[편집자주]
증권형토큰발행(STO)의 제도화로 블록체인 기술 기업들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저마다 증권사, 조각투자 플랫폼 등과 협업해 STO 시장을 키우겠다는 목표다. STO 시장의 기반을 마련할 역할을 부여받은 블록체인 관련 기업의 전략과 특색을 알아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30일 07:1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거래비상장은 국내서 누구보다 빠르게 토큰증권(ST) 시장의 가능성을 알아본 기업이다. 지난해 자사주를 ST 형태로 발행하려는 시도까지 하는 등 적극적으로 ST 시장에 접근했다.규제가 없는 상황에서도 방법을 찾아 나섰던 서울거래비상장은 토큰증권발행(STO) 제도화를 통해 더 큰 기회를 옅보고 있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STO 가이드라인의 핵심 골자는 ST 발행-유통의 분리다. 서울거래비상장은 약 3년간 비상장 주식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며 쌓은 유통 노하우를 ST 시장에서도 녹여보겠다는 계획이다.
◇금융권 출신 추효현 총괄 영입…ST 사업 확장
서울거래비상장은 지난달 추효현 최고 블록체인 책임(CBO·사진)을 영입하고 ST 사업 총괄로 선임했다. 추 총괄은 ST 사업 전반과 장외거래 중개업 신청 업무 등을 도맡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추 총괄은 금융감독원, 카카오페이 등을 거친 금융 전문가다. 블록체인이라는 신기술과 전통금융 요소가 합쳐진 ST 사업을 이끌 적합한 인물로 꼽힌다. 금감원에서는 기업금융제도, 공시심사, 증권조사 등을 담당했고 카카오페이에서는 금융정책실장, 금융소비자 보호책임(COO)을 역임했다.

서울거래 비상장은 일찍이 STO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지난해 3월부터 투자사인 해시드와 증권형토큰 연구를 시작했고 7월부터 9월까지 두달 간 자사 증권을 토큰화해 공모주 청약 시도를 했으나 제도적 문제로 완성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블록체인 기술과 대체 투자 수단에 대한 연구는 지속했다. 블록체인이 갖고 있는 편리성과 안전성을 금융 서비스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 투자자 정보비대칭 완화 및 시장 안정성 증대 등에 대한 연구를 이어왔다.
◇블록체인 기술기업과 협업…ST 유통 플랫폼 제공 목표
올해 금융당국이 STO 가이드라인을 내놓자 서울거래 비상장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에는 블로코, 파라메타(옛 아이콘루프) 등과 ST 개발을 위한 협약을 연달아 체결했다.
서울거래 비상장이 협약을 맺은 양사 모두 블록체인 원천기술 개발 업체다. 이들은 ST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을 제공하고 서울거래 비상장은 유통을 위한 플랫폼, 솔루션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ST 유통의 실제 사업화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자본시장법, 전자증권법 등 관련 법안이 개정돼 ST가 완전히 제도권 안으로 편입되는 시기는 내년 이후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업계서는 입법화 전 규제 샌드박스 형태로 ST 사업 인가를 내어줄 것으로 보고 있지만 확실한 방안은 나온 바 없다.
물밑에서 ST 관련 사업을 지속 준비해온 만큼 제도가 완비되면 별도의 앱을 출시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현재 운영 중인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은 오는 2024년 혁신금융서비스 인가가 만료된다. 인가 연장 또는 중개업 면허 취득해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거래 비상장 관계자는 "비상장 주식과 ST는 구조가 일부 다른 게 있다"며 "향후 별도의 토큰 증권 장외 중개업 라이선스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발행사들이 저마다 ST를 유통할 플랫폼을 찾을 텐데 그때 그들과 협력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며 "한 플랫폼에서 두 가지 거래를 지원할지 또는 별도의 서비스를 출시할지는 정해진 바 없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최대 3000억 공모채 추진
- LS전선, 최대 1800억 공모채 추진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고팍스 주요주주로 등판한 시티랩스…대표 선임도 '곧'
- 가상자산사업자 대주주 적격성 평가, '빗썸 주인' 명확해진다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실물자산 기반 토큰' 특화 거래소로 차별화
- 대학 리뷰 플랫폼 '켐퍼스', 빗썸 미국 진출 디딤돌 될까
- SM 광야클럽, 1년만에 종료 후 위버스로 간 사연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100% 민간자본 설립…분권형 거버넌스 구조 채택
- 콘솔로 가는 넥슨 '데이브'…북미 시장 공략 물꼬 틀까
- 코인원, 연이은 기능 개선…모바일 취약 이미지 지운다
- 30만원 입금한도 풀린 코빗, 신규 고객 유치 나서나
- [블록체인 사업모델의 진화]'클립' 키우는 그라운드X, 글로벌 전자지갑으로 발돋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