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산은PE, 폐기물업체 '씨에스에코' 매각 추진 인수 2년 만에 엑시트 행보, 원매자 태핑 돌입
임효정 기자공개 2023-06-08 08:18:53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5일 14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진프라이빗에쿼티(유진PE)와 산업은행 PE실(산은PE)이 폐기물처리업체인 씨에스에코의 매각 작업에 착수했다. 씨에스에코는 유진PE와 산은PE가 결성한 1호 인프라펀드를 통해 2021년 투자한 포트폴리오로, 2년 만에 엑시트에 나섰다.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유진PE와 산은PE는 씨에스에코 매각을 위해 최근 시장에서 수요 조사에 돌입했다. 매각 주관사는 별도로 선정하지 않고 다수 잠재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직접 투자안내서를 배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해 말 기준 씨에스에코 지분은 토탈클린이 71.8%를 보유하고 있다. 토탈클린은 유진PE와 산은PE가 설립한 특수목적회사(SPC)다. 나머지 지분은 이병현 대표와 특수관계인이 나눠 보유 중이다.
2015년 설립된 씨에스에코는 폐기물 처리업체다. 주로 폐산, 폐알칼리, 비산재, 소각재, 분진 등을 처리한다.
산은PE와 유진PE가 투자한 건 2021년 4월이다. 당시 230억원을 투자해 지분 약 71%를 사들이며 유진그룹 계열사로 편입됐다. 당시 투자재원은 양사가 코지피(Co-GP)로 결성한 1호 인프라펀드를 활용했다. 1호 펀드의 마지막 포트폴리오이기도 했다.
산은PE와 유진PE는 2018년 1000억원 규모로 1호 인프라펀드를 결성해 폐기물처리업체에 투자하며 트랙레코드를 쌓았다. 종합 폐기물처리업체인 KC환경서비스(250억원)와 의료폐기물 처리업체인 디디에스(235억원)도 해당 펀드로 투자한 포트폴리오다. 디디에스의 경우 투자한 지 1년 만에 SK에코플랜트에 매각하며 의미 있는 회수 실적도 남겼다.
씨에스에코는 유진그룹 계열에 속한 이후 실적 성장을 이어갔다. 2021년 101억원이었던 매출액은 지난해 162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도 17억원에서 4억원으로 적자폭을 줄였다. 상각전영업이익(EBITDA)도 플러스(+)로 전환했다. 지난해 기록한 EBITDA는 17억원 수준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