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저축, 김진백 경영전략본부장 '믿고 간다' 임원 6명 임기 연장…7년째 장수 CFO, 부동산 연체율 6% 육박
김서영 기자공개 2024-01-12 11:01:15
이 기사는 2024년 01월 10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모아저축은행이 올해 임원 인사를 단행했으나 뉴페이스는 없었다. 승진 인사 없이 임원진 6명에 대한 임기 연장만 단행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가시화 등 대내외 금융 불안정 속에서 안정을 꾀한다는 분석이다.특히 오랜 '믿을맨' 김진백 경영전략본부장(부행장)에 대한 재신임이 눈길을 끌었다. 김 부행장은 경영전략본부를 이끄는 수장으로 최고재무책임자(CFO) 역할을 한다. 2017년 임원진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이후 줄곧 경영전략본부를 총괄해왔다. 김 부행장이 모아저축은행 건전성 관리에 드라이브를 걸지 주목된다.
◇임원진 6명 연임 '안정'에 방점…재신임받은 김진백 CFO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모아저축은행은 '2024년 임원 인사'를 발표했다. 올해 임원 인사는 승진자 없이 기존 임원진에 대한 1년 임기 연장이 주를 이뤘다. 임기 연장 대상 임원은 모두 6명으로 △김진백 부행장 △박창군 부행장 △김수열 상무 △허진영 상무 △권경상 이사 △강공준 이사 등이었다.
임원 간 담당업무에도 변함없었다. 김 부행장은 경영전략본부장, 박 부행장은 영업부문장 자리를 유지했다. 김 상무와 허 상무는 각각 여신심사본부장, 리테일금융본부장을 맡는다. 권 이사는 자금관리본부장, 강 이사는 기업금융본부장이다.
모아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 임원 인사에서는 임원들의 보직이 변경된 것 없이 임기 연장만 결정됐다"며 "내부 조직도에도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고 말했다.

모아저축은행에서 경영전략본부장은 타은행의 CFO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자금관리본부 총괄이 존재하나 영업본부에서 파생돼 만들어졌으므로 은행 전체 자금 흐름을 관장하는 조직은 아니다.
김 부행장은 1974년생으로 미국UC버틀리대 산업공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밟았다. 모아저축은행에서 경영전략본부를 총괄하고 있으며 2017년 상무, 2019년 전무로 승진했다. 2020년 부저축은행장에 해당하는 수석본부장 자리에 올라 6년째 CFO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부동산 신용공여 연체율 '6%' 육박, NPL비율도 5%p 상승
재신임받은 김진백 부행장이 불안정한 대외 상황 속 수익성과 건전성을 다시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모아저축은행은 2021년부터 지속적인 외형 성장에 나섰으나 최근 업황 악화로 수익성 감소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작년 3분기 말 모아저축은행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68억원으로 전년 동기 296억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77% 급감했다. 같은 기간 이자수익이 4.79%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이자비용이 77.7% 뛰며 비용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외형 성장이 둔화된 배경에는 리스크 관리 강화가 원인으로 꼽힌다. 작년 3분기 말 대출채권 잔액은 2조1392억원으로 1년 전(2조7308억원)과 비교해 21.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기업자금대출은 1조3964억원, 가계자금대출은 5798억원으로 모두 감소했다.
관련 업계에선 모아저축은행이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자산건전성이 악화되는 것 아닌지 지켜보는 모습이다.
작년 9월 말 부동산PF 대출, 건설업, 부동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 합계는 1조225억원이다. 이 가운데 연체액은 611억원이고 연체율은 5.98%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PF 대출에 대한 연체액은 192억원으로 집계됐다. 연체율도 6.35%로 부동산업(6.47%)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건전성 지표도 관리 대상이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작년 3분기 말 8.37%로 나타나 1년 새 4.88%p 높아졌다. 전체 여신액이 2022년 3분기 말 2조7308억원에서 작년 9월 말 2조1392억원으로 감소했음에도 NPL 규모가 1790억원으로 87.6%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ACR 2025]제이인츠 임상의가 본 JIN-A02 기술이전 전략 "타깃 구체화"
- [i-point]메타약품,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