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人사이드]웰컴저축, IBK캐피탈 출신 박종성 부사장 '영입'벤처캐피탈 전문가, 신설된 투자금융본부 총괄…IB 역량 끌어올릴까
김서영 기자공개 2024-03-21 13:03:23
이 기사는 2024년 03월 19일 15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웰컴저축은행이 IBK캐피탈 출신 박종성 전 전무를 투자금융본부장(부사장)으로 전격 영입했다. 박 부사장은 IBK캐피탈에서 IB본부장으로만 4년간 재직한 인물로 벤처캐피탈 전문가로 손꼽힌다.웰컴저축은행이 박 부사장 영입에 맞춰 이달 '투자금융본부'를 신설한 점도 주목된다. 기존 기업금융본부 아래 투자금융부에서 본부 급으로 격상한 것이다. 박 부사장은 부동산, 증권 등 다양한 투자 업무를 전문적으로 이끌어가게 됐다.
◇IBK캐피탈 출신 박종성 부사장, 투자금융본부장에 '발탁'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웰컴저축은행은 박종성 전 IBK캐피탈 전무를 전격 영입, 투자금융본부장으로 선임했다. 박 신임 부사장은 IBK캐피탈에서 34년간 몸담은 인물로 벤처캐피탈 전문가로 통한다. 박 부사장은 이달 4일 임기를 시작했고 임기 만료일은 2026년 3월이다.
1965년생인 박 부사장은 서울대 경영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모두 밟았다. 1990년 IBK캐피탈에 입사한 그는 다른 회사나 업종으로 옮기지 않고 '한우물'만 파온 인물로 높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박 부사장은 IBK캐피탈에서 M&A부장, M&A사업단장으로 재직했다. 2015년 2월까진 IB 1부장으로 일했다. 이듬해 2016년 2월 시너지영업본부장, 2017년 2월 할부리스금융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2019년 2월부터 올해 2월까지 4년간 IB본부장을 담당했다. 2020년 2월엔 상무로, 2022년엔 전무로 승진했다.
올해 3월 IBK캐피탈에서 웰컴저축은행으로 적을 옮겼다. 박 부사장은 웰컴저축은행에서 투자금융본부장으로 활약하게 됐다. 웰컴저축은행은 "IBK캐피탈에서 오랜 시간 근무하면서 투자금융에 있어 전문성을 보유했기에 외부 인사를 전격 영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손종주 웰컴금융그룹 회장과의 공통점도 주목된다. 손 회장은 IBK기업은행 출신으로 1974년에 입행했다. 이후 1986년 한국기업리스로 자리를 옮겼고, 2014년 4월 예신저축은행 대표이사를 거쳐 같은 해 5월 웰컴저축은행을 창립했다. 박 부사장이 IBK 출신이라는 점에서 손 회장의 눈에 들었다는 분석이다.
◇'투자금융본부' 신설, IB 역량·전문성 강화한다
웰컴저축은행은 박종성 신임 부사장 영입과 동시에 '투자금융본부'를 신설했다. 기존 여신본부 아래 설치돼 있던 IB영업부와 기업금융본부 산하의 투자금융본부가 합쳐져서 신규 본부가 만들어진 것이다. 부에서 본부급으로 격상돼 투자금융 업무에 힘을 실었다는 분석이다.
이로써 투자금융본부 아래엔 투자금융1부와 2부가 설치됐다. 투자금융본부는 부동산, 증권 등 저축은행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투자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웰컴저축은행은 설명했다. 본부 신설을 계기로 시장 환경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관련 업무를 추진해간다는 방침이다.
박 부사장이 신설된 투자금융본부에서 '벤처캐피탈 전문가'라는 주특기를 발휘할지 주목된다. 작년 9월 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유가증권 자산은 2627억원이다. 전체 자산에서 유가증권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4.09%로 작은 수준이다.
다만 유가증권 자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2021년 말 유가증권 자산은 1377억원으로 자산 비중으론 2.23%에 불과했다. 2022년 말에는 2466억원으로 증가해 자산 비중이 3.46%로 늘었다.
2022년 말 기준 유가증권이자는 11억원을 기록해 1억원에 불과했던 전년보다 크게 상승했다. 또 같은 기간 유가증권 관련 수익은 55억원으로 전년(26억원) 대비 두 배가량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단독 출사표' 인피니툼, 스포츠산업 무혈입성할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국토교통혁신 분야, '비하이인베' 주목받는 이유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프로젝트, 작년·올해 재수생 지원…각축전 예고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전략, 유관펀드 경험 AC 2곳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AC 리그' 스포츠출발, AC패스파인더 2년 연속 GP?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공공기술사업화, 기술지주 각축장…티인베 참전 이목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