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패션부문, '세종'과 정기 법률 자문계약 체결 행동주의 펀드 공세 지속, 대응 목적에 '무게'
김혜중 기자공개 2024-04-09 08:24:29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3일 11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법무법인 세종과 정기 법률 자문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물산 전체가 아닌 패션부문만 단독으로 법률 자문 계약을 체결한 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삼성물산이 지난해 말부터 행동주의 펀드로부터 패션부문을 분할 상장하라는 등의 주주 서한을 받아온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분석이다.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법무법인 세종과 법률 자문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성격은 일회성 계약이 아닌 정기 법률 자문 계약이다. 통상적으로 정기 자문 계약은 기간이 따로 확정되지 않고 법적 이슈에 대해 수시로 자문을 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삼성물산이 패션부문만 따로 떼서 법률 자문 계약을 맺은 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삼성물산이 행동주의 펀드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냐는 시각이 제기된다. 법무법인은 M&A나 공정거래, 관세 문제 외에도 기관구성을 포함한 지배권 관련 문제, 이사회 및 주주총회 관련 사항 등에 대한 자문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말 영국계 행동주의 펀드 팰리서 캐피탈(Palliser Capital)로부터 주주 서한을 받았다. 패션부문과 리조트부문 등의 분리 상장, 삼성물산의 지주사 전환 등이 골자였다.
업계에서는 패션부문 분리 상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 삼성물산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재판을 이어가고 있다. 쟁점은 삼성물산에 불리한 합병 비율이 산정돼 주주에게 피해를 주었느냐다. 1심 재판은 최근 마무리됐고 법원은 합병이 합리적인 이유였다며 이재용 회장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이러한 상황 속 패션부문을 분리한다는 것 자체가 합병의 정당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행동주의 펀드의 공세가 끝이 아닌 시작일 수 있다는 위기감이 일부 반영되면서 법무 법인과 자문사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해 초 주주총회를 앞두고 안다자산운용과 씨티오브런던인베스트먼트, 화이트박스어드바이저스 등 행동주의 펀드 5곳이 연합해 주주제안을 보냈다. 자사주 소각과 배당 확대 등을 제안했고 표 대결까지 이어졌다.
지난해 주주 서한을 보낼 당시 팰리서 캐피탈이 보유한 삼성물산 지분은 0.62% 수준이었다. 올해 초 주주총회를 앞두고 주주제안을 보낸 행동주의 펀드 연합 측 의결권도 1.46%에 불과했다. 다만 지배구조 이슈를 둘러싸고 대외적으로 잡음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 속 행동주의 펀드의 공세는 삼성물산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행동주의 펀드가 보유 지분을 늘려 영향력을 키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정기 자문 계약을 맺은 건 행동주의 펀드 대비 뿐 아니라 지분투자, CVC 등을 염두에 둔 조치라는 해석도 있다. 패션업계 특성상 주요 브랜드와의 계약이나 지분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기에 이러한 과정에서 정기 자문으로 투자에 동반되는 법률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삼성물산 패션부문 관계자는 "팰리서 등 행동주의 펀드가 삼성물산에 대한 주주 행동을 지속하고 있는 건 맞지만, 패션부문 분리 여부는 알 수도 없고 실현도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3400억 베팅' 릴슨PE, 현대위아 공작기계 인수 완료
- [i-point]미래산업, 중국 CXMT에 35억 검사 장비 추가 수주
- 한국타이어, 'EUDR 대응 조직' 신설…비관세장벽 '대응'
- '시장가격으로 하는데'...롯데렌탈, 유상증자 논란에 '속앓이'
- 방산업체 선언 현대위아, 글로벌 노크...차세대 화포 개발
- "우리도 빅딜?"…철강업계, 정부 TF 정책방향 예의주시
- [이사회 분석]두산, 보상위원회 신설...사외이사 전담 조직 추가
- GS칼텍스, 신사업 협의체 신설…저탄소 전환 '속도전'
- SK온, 북미 ESS 진출 속도...현지라인 LFP용 전환 검토
- 코엔텍 M&A 숏리스트, 에코비트·프랑스SI·어펄마·거캐피탈 '확정'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표 교체' 제너시스BBQ, 글로벌 사업 확장 '가속화'
- [오아시스 티몬 인수]티몬 '500억' 실탄 오아시스, 재무 여력은
- [thebell note]롯데마트 구리점 '재출점'의 의미
- [다이닝브랜즈그룹 돋보기]변화의 기로 BHC, '해외·온라인' 승부수
- [다이닝브랜즈그룹 돋보기]안정적 수익성, 인수금융 상환으로 '투입'
- [상법 개정안 통과]신세계, '9.1%' 자기주식 활용에 쏠리는 눈
- [다이닝브랜즈그룹 돋보기]성공적 '볼트온', 글로벌 외식 기업으로 발돋움
- [상법 개정안 통과]'3%룰' 강화, 사조그룹 출자구조 향방은
- '슈퍼·패션' 통합 이랜드리테일, 효율화에 '방점'
- [지배구조 분석]온타이드 매각 크리스에프앤씨 오너2세, 글로벌 확장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