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시젼바이오, 새주인 광동제약 체제 첫 미국 품목 허가 미국 자회사 '나노디텍' RSV 감염 진단제품…수익 다변화 기여 기대
이기욱 기자공개 2024-08-01 07:53:38
이 기사는 2024년 07월 31일 16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프리시젼바이오가 광동제약 품에 안긴 지 불과 한달만에 첫 성과를 달성했다. 미국 자회사 '나노디텍'을 통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 진단제품의 미국 510(k) 승인 문턱을 넘었다. 이달 초 코로나19 및 독감 동시 진단키트의 긴급사용승인(EUA)에 이어 또 한번 역량을 입증했다.현재 다수 업체와 RSV 진단키트 생산 수량 및 시기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상용화가 이뤄질 경우 최대주주 광동제약의 사업구조 다변화 전략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된다.
◇1월 코로나19 진단 제품 이어 두번째 승인…인허가 역량 재입증
프리시젼바이오의 미국 자회사 나노디텍은 최근 RSV 감염 진단제품 '나노-체크 RSV 테스트'(Nano-Check™ RSV Test)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정식승인(510(k))을 획득했다.
510(k)는 의료기기 '시판 전 성능증명 제도(510k Clearance)'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기존 허가된 의료기기와 시판 전 의료기기의 동등성을 검증하는 절차다. 나노디텍은 이번 승인을 통해 RSV 진단키트를 생산 및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정식승인과 동시에 CLIA-Waiver(면제허가) 인증도 받았다. FDA는 진단 절차가 간소하고 의료전문인력이 아닌 일반인이 사용해도 진단 오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인정되는 제품에 한해 CLIA-Waiver를 부여한다. 전문 검사 기관 외 약국과 간이 검사소 등 보다 폭 넓은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프리시젼바이오는 이번 510(k) 승인과 CLIA-Waiver 인증으로 우수한 인허가 역량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달 초에도 나노디텍은 '나노체크 인플루엔자+코비드19 듀얼 테스트(Nano-Check™ Influenza+COVID-19 Dual Test)' 진단키드의 긴급사용 승인(EUA)을 받은 바 있다.
지난 1월에도 코로나19 진단제품 '나노-체크 COVID-19'(Nano-Check™ COVID-19 Antigen Test)의 FDA 510(k) 인증을 받았다. 최근 3년동안 EUA와 510(k)의 문턱을 각각 두 차례씩 넘었다.
김한신 프리시젼바이오 대표는 "코로나19 FDA 정식 승인과 인플루엔자&코로나19 콤보 제품 FDA EUA 승인, 나노-체크 RSV 테스트 FDA 정식 승인은 나노디텍의 뛰어난 기술력과 제품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라며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감염성 질환 진단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려동물 헬스케어·건기식·진단키트 신시장 공략…생산·판매 계획 아직
이번 성과는 광동제약 체제 하에서 이룬 첫 FDA 승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프리시젼바이오는 이달 초 최대주주가 기존 ㈜아이센스에서 광동제약으로 바뀌었다.
이달 초 광동제약은 아이센스 외 특수관계자 3인이 갖고 있던 프리시젼바이오의 지분 29.7%를 169억원에 인수하며 최대주주에 올랐다. 인수 후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프리시젼바이오가 미국 시장 신상품 판매의 기틀을 마련한 셈이다.
이에 따라 광동제약의 사업 구조 다변화 전략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광동제약의 사업 구조는 한방 의약품과 식음료(F&B) 위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기준 광동제약의 총 매출액은 9171억원. 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삼다수(3096억원, 33.8%)와 비타500류 건강드링크(998억원, 10.9%), 청심원류(717억원, 7.8%)다.
2022년 말까지만 해도 계열사 역시 식품첨가물 제조업(가산)과 한약재농축액제품 가공 판매(연변광동제약유한공사), 소모성자재 구매대행업(코리아이플랫폼) 등에 국한돼 있었다.
이에 광동제약은 지난해부터 사업 구조 다변화를 주요 과제로 삼고 다양한 투자를 이어오는 중이다. 지난해 초 반려동물 헬스케어 관련 기업 비엠헬스케어와 씨티바이오의 지분을 각각 17.09%, 32%씩 사들였다.
지난해말에는 건강기능식품 업체 비엘헬스케어(현 광동헬스바이어)도 인수했다. 올해 4월 사업이 중첩되는 KD헬스바이어를 청산하며 광동헬스바이어를 건기식 전진 기지로 새롭게 내세웠다. 그리고 이달 초 프리시젼바이오 인수를 통해 체외진단기기 사업에도 진출했다.
FDA 정식 승인을 완료한 나노디텍의 RSV 진단키트가 실제 생산, 판매 단계에 들어가면 광동제약 전체 수익 다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구체적인 RSV 진단키드 생산 규모 및 일정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프리시젼바이오 관계자는 "다수의 업체들과 논의 중"이라며 "구체적인 생산 수량이나 판매 시기는 확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보로노이 'VRN11' 임상 데이터 이견, 핵심은 약 없는 'C797S'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JW중외제약, 빈혈 치료제는 지연…기대되는 '통풍 신약'
- 제테마, 필러 중국서 '첫 발'…차별화는 '안전성·고급화'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 안보는 동국제약, 제네릭 잇는 '의료기기' 사업
- 존재감 키우는 에이아이트릭스, 시장 데뷔 2년 '100억' 매출
- 롯데바이오, 솔루플렉스 무기 갖춘 ADC '첫 수주' 결실
-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용처 분석]'차헬스' 1순위 배경, 지연된 병동 신축 '2600억' 상환 압박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녹십자, 600억 알리글로 상각 시작…공백 메울 넥스트 부재
- 일반상장 타깃 덱스레보, '액상 PCL' 국내 진출 준비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