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캐피탈, 고부가 차종 오토리스 영업 '성장 견인' 판관비 확대로 3분기 순익 감소…0%대 연체율 지속
김경찬 기자공개 2024-11-20 12:35:43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9일 10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캐피탈은 현대차그룹의 금융 파트너로서 안정적인 영업 성장을 이루고 있다. 고수익 차종을 중심으로 하는 오토리스가 영업수익 확대를 주도했다. 현대캐피탈은 그룹 판매량 내 30~40% 수준의 취급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건전성관리도 우수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전속금융사(캡티브) 마켓에 기반해 0%대 연체율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부실률이 높은 개인신용대출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신규 취급하며 엄격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본업 충실 수익성 안정적, 인건비 증가 영향 분기 실적 저하
현대캐피탈은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 380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3157억원) 대비 20.5% 늘어난 수치다. 현대캐피탈 관계자는 "지난해 1분기에 발생한 해외법인 지분법 손실의 기저효과"라고 말했다. 지난해 1분기 독일법인의 리스 자회사 올레인(Allane SE)에서 지분법 손실이 405억원 발생한 바 있다.
현대캐피탈은 자동차금융을 중심으로 본업에 충실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시현하고 있다.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3조922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7763억원) 대비 3.9% 증가했다. 특히 고수익 차종 중심 믹스 개선으로 리스 수익을 15.6% 확대한 1조8411억원을 시현했다.

믹스 개선은 부가가치가 높은 차량 중심으로 판매 비중을 조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부가 차종으로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와 하이브리드차,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을 포함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전기차 사업 등 미래 모빌리티 관련 금융사업을 확대하며 그룹과의 시너지를 창출해나갈 예정이다.
다만 3분기 실적은 전년보다 다소 부진했다. 3분기 순이익은 10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8% 감소했다. 현대캐피탈 관계자는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은 대손상각비와 판매관리비 증가 영향"이라고 밝혔다. 판매관리비는 임금협상 타결분과 호주법인 임직원 급여 지급에 따른 인건비 증가 영향으로 9.4% 확대됐다.

◇효율적인 리스크관리로 우수한 건전성 확보
현대캐피탈은 0%대 연체율을 유지하며 우수한 자산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우량 고객 위주로 수익성에 집중하는 영업을 전개하며 효율적인 리스크관리가 이뤄졌다. 9월말 기준 현대캐피탈의 총 연체율은 0.91%로 전년말 대비 0.04%포인트 하락했다. 30일 이상 연체율은 0.85%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적극적인 부실채권의 조기 상각과 매각을 통해 건전성 지표를 관리하고 있다. NPL비율은 2.16%로 0.04%포인트 하락했다. NPL은 2.3% 감소한 7490억원으로 나타났다.
자산 성장세도 주춤한 모습이다. 9월말 기준 현대캐피탈의 총자산은 38조6517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4% 줄었다. 이중 할부금융 자산은 16조4117억원으로 전체 영업자산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리스 자산은 8조1901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570억원 순증하며 영업 성장을 견인했다.
이에 반해 자기자본을 늘리면서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했다. 자본여력을 나타내는 조정자기자본비율은 16.15%로 1.356%포인트 개선됐다. 금융당국은 조정자기자본비율을 7% 이상 유지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
- JB우리캐피탈, 2540억 목표 순항…실적 견인한 포트폴리오는
- [MG캐피탈은 지금]'숙원 과제' 신용등급 상향 초읽기, 재도약 '신호탄' 될까
- 현대커머셜, 고수익 자산 대손비용 확대에 실적 '주춤'
- 신한캐피탈, 추가 충당금 규모 줄여 분기 흑자 전환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매각 소식에 업계 '술렁', 다른 일본계 동향은
- [컨콜 Q&A 리뷰]BNK금융 "순이익 목표치 낮춰도 주주환원 계획 이행 가능"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국내 사업전략 조정 불가피, 인베·캐피탈 거취에도 '촉각'
- [Sanction Radar]CNH캐피탈, 업무 보고서 '거짓' 작성…기관주의 '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