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통' 김원희 사장, 포스코와이드 새 대표이사 선임 포스코이앤씨 경영기획본부장 등 역임…그룹 구조조정 발맞출 적임자
이호준 기자공개 2025-03-25 11:00:59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4일 10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와이드가 새 대표이사(CEO)에 김원희 사장(사진)을 임명했다. 김 사장은 포스코이앤씨 최고재무책임자(CFO) 출신으로 대표적인 재무통이다. 포스코그룹의 구조조정 기조에 맞춰 자산관리 컨설팅 등 회사의 역할을 확대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온다.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이드는 신임 대표이사 사장에 김원희 사장을 선임했다. 김 사장은 1965년생으로 서강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 포스코에 입사해 글로벌인프라사업관리실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인프라팀장,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기획지원본부장 등을 역임해 왔다.

포스코와이드는 포스코그룹의 오피스와 후생시설에 대한 시설관리(FM)를 전문으로 하는 사업회사다. 1994년 동우사로 출발해 2005년 그룹 계열사로 편입했다. 이후 포스메이트, 포스코O&M으로 사명을 바꿔 오다가 재작년에는 시설관리 중심의 이미지를 벗고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지금의 포스코와이드로 이름을 바꿨다.
김 사장이 포스코와이드 경영의 바통을 넘겨받은 이유는 명료하다. 그의 이력에서 알 수 있듯 그는 그룹 내 대표적인 재무 전문가다. 포스코와이드는 기존 시설관리에서 개발·시행으로, 특히 저수익 노후 자산의 가치 제고와 자산 유동화 사업으로 확장을 노리고 있다. 이에 대한 김 사장의 전문성이 적임이라는 판단이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구조조정을 본격화하겠다고 선언한 뒤 일본제철 지분 매각 등을 추진하며 전략 연계성이 낮은 125개 사업 정리를 예고했다. 작년엔 이 중 45개 사업을 정리해 6625억원을 확보했고 올해도 61개 프로젝트를 마무리해 2조1000억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포스코와이드로서는 이 같은 구조조정 흐름에 맞춰 내부 자산관리 컨설팅 파트너로서 실질적 기여를 통해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맞았다는 분석이다. 현재 포스코와이드는 서울 시청역 금세기빌딩 재개발에 착수하는 등 부동산 개발을 통해 기업부동산(CRE) 영역으로의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인프라 사업도 진행 중이다. 광양제철소 해수담수화 시설과 지역난방 시설 등을 운영하며 지역사회 에너지 활용과 탄소 저감 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그룹, 미국 대관조직 '컨트롤타워' 만든다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Policy Radar]'1거래소-1은행' 원칙 폐기 짚어볼 두 가지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포시마크로 보여준 '빅딜' 성과…글로벌 기업 '한발짝'
- [유증&디테일]셀리드, 최대주주 재원 마련 방안 '지분 매도'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note]현대제철, 신뢰를 회복하려면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AT '초전도 선재' 적자 지속…자본잠식 가능성은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순현금 달성했지만…'선재 수익성'에 발목
- 현대IFC 인수 '저울질' 동국제강, 실익있나
- "더 나빠질 일 없다" 포스코, 실적 바닥론 '베팅'
- [현대차-포스코 글로벌 신동맹]주도와 실익 사이 미묘한 '신경전'
- 동국제강, '턴어라운드' 시작됐나
- 구조조정 언급 현대제철…"봉형강, 생존 위한 조정"
- [현대차-포스코 글로벌 신동맹]지분 '5대5' 논의, 결국 현대차로 '무게중심' 기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