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 캑터스PE와 한국자산평가 공동인수 중순위 프로젝트펀드 조성 작업 한창
박시은 기자공개 2019-05-13 14:20:56
이 기사는 2019년 05월 07일 07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라임자산운용이 한국자산평가 인수에 동참한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이하 캑터스PE)와 함께 한국자산평가 공동인수에 나선다.3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은 한국자산평가 투자용 프로젝트펀드 조성 작업에 한창이다. 라임자산운용이 중순위 프로젝트펀드를 만들고, 또다른 GP인 캑터스PE가 후순위 프로젝트 펀드를 결성, 나머지는 선순위 인수금융으로 채우는 구조다.
헤지펀드 운용사로 잘 알려진 라임자산운용은 2012년 주식운용을 본업으로 설립됐다. 최근들어 기업투자 및 대체투자 부문으로 관심 영역을 넓히는 추세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하반기 HQ캐피탈 출신 소은석 상무를 영입, 기업투자본부장(전무)직을 맡겼다. HQ캐피탈은 독일계 PE 재간접펀드(Fund of Funds) 및 세컨더리(Secondary) 투자 전문 운용사다.
라임자산운용과 캑터스PE는 각각 프로젝트펀드를 만들어 한국자산평가의 경영권이 포함된 보통주 96만4073주(90.52%)를 취득하는 게 목표다. 펀드 설정액은 700억원대 중반 규모로 알려졌다.
캑터스PE는 지난달 말 한국기업평가와 스톤브릿지캐피탈 등 경쟁자들을 제치고 한국자산평가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늦어도 다음 달 중엔 인수금 납입(딜 클로징)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자산평가 M&A는 매도자인 유진PE 입장에서 첫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해당한다.
약 7년 전 출범한 라임자산운용은 총 운용자산(AUM)이 4조7162억원에 달한다. 자산 대부분이 사모펀드 형태로 운용된다. 운용역을 포함한 인력 규모는 총 52명, 지난 3월 말 기준 자기자본은 289억원이다. 원종준 대표이사, 이종필 부사장을 포함한 임직원이 회사 주식 전량을 소유하는 종업원 100% 지주회사다.
이번 거래는 유진PE가 보유하고 있던 한국자산평가 지분(89.5%)를 매물로 내놓으면서 시작됐다. 최종 거래대상엔 개인주주 지분도 일부 포함됐다. 유진PE는 2016년 SK증권PE·산은캐피탈로부터 400억원에 한국자산평가의 경영권을 인수한 바 있다. 이번 매각자문은 삼일PwC가 맡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인텔리안테크, HD현대와 무선통신기술 '맞손'
- [AACR 2025]제이인츠 임상의가 본 JIN-A02 기술이전 전략 "타깃 구체화"
- [i-point]메타약품,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