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인베스트먼트, 올해 AUM 5000억 넘긴다 뉴로메카 등 엑시트 대기, '바이오' 초기기업 발굴 집중
이종혜 기자공개 2020-01-17 08:16:36
이 기사는 2020년 01월 16일 16:2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설립 8년차인 DSC인베스트먼트가 올해 운용자산(AUM)을 최대 5500억원으로 잡았다. 꾸준하게 매년 조합을 결성해 곳간도 넉넉해질 전망이다. 뉴로메카, 만나씨에이 등 엑시트(투자금 회수)할 포트폴리오가 대기중이다.또 하반기에 기업성장투자기구(BDC)가 출범하면 창업투자회사들이 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용이해진다. DSC인베스트먼트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설립 첫해부터 매년 1개 이상의 신규 벤처조합을 결성해 온 DSC인베스트먼트가 펀드 약정총액을 늘려가며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있다. 2018년 결성한 창사 이래 가장 큰 1200억원 규모의 ‘DSC초기기업성장지원펀드’는 2년 만에 76%나 소진됐다.
지난해 10월 결성한 130억원 규모의 ‘DSC Tech 밸류업 펀드 1호’도 약정총액을 약 15% 늘려 150억원으로 증액했다. 이로써 국내외 유망 초기 기술기업 발굴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올해 DSC인베스트먼트는 엑시트할 기업들도 있다. 뉴로메카, 만나씨에이, 지놈앤컴퍼니, 에스엠 생명공학, 에스엠랩, 티움바이오 등 6개 회수가 예상된다.
DSC인베스트먼트는 현재 벤처조합 12개로 4342억원을 운용하고 있다. 2012년 100억 규모의 드림제1호 KU-DSC그린투자조합을 시작으로 DSC드림제3호 청년창업투자조합, DSC드림제4호 성장사다리조합, DSC유망서비스산업펀드, DSC Tech 밸류업 1호 등을 운용하고 있다.
결성 조합의 약정총액도 커지고 있다. 설립 초기 약정총액 100억~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해왔는데 1000억원대까지 펀드규모가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 10월 결성한 DSC Tech 밸류업 1호 펀드로 투자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드라이브를 걸 전망이다. 이 펀드는 신탁형 벤처펀드다. 증권사가 개인 등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유한책임투자자(LP)로 출자하는 방식이다. 이번 펀드의 기준수익률은 5%이며 운용기간은 5년으로 오는 2024년이 만기다.
초기 투자의 강점을 살려 DSC인베스트먼트는 바이오, 블록체인, 로보틱스, 모빌리티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에 집중하며 투자의 질을 높여나간다는 복안이다. 뿐만 아니라 미국, 이스라엘 등 해외 유망 테크 기업 발굴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는 펀드가 개인 신탁자금으로 구성된 만큼 해외 투자가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올해 하반기에는 BDC가 출범한다. BDC가 도입되면 일반 투자자(증권사·자산운용사)도 비상장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 창업투자회사들은 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가능해진다.
당초 비상장기업 등 투자대상에 BDC 재산의 60% 이상을 의무적으로 투자하도록 했으나, BDC의 원활한 자금조달과 혁신기업에 대한 효율적 자금지원 등을 위해 1년 유예기간을 두도록 했다. BDC는 미국의 비상장기업투자전문회사 ‘BDC’를 벤치마킹한 제도로 투자자금을 공모한 후 주식시장에 상장하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선투자 효과' 코리아센터, 최대 성적표 '함박웃음'
- 변동성 장세엔 '우리G PIMCO 다이나믹멀티에셋 펀드'
- [이사회 모니터/SK건설]감사위원회 구성은 좋은데...아쉬운 개최 주기
- COWON, '9M프로야구' 퍼블리싱 계약 체결
- 출범 2달 앞둔 구본준호, 계열사 성적표 살펴보니
- '김승연 회장 복귀' 한화건설, 비스마야 프로젝트 반등하나
- '퇴짜맞은' 이한상 교수, 한국타이어 형제갈등 재점화?
- FI 바뀌는 대림, 흔들리지 않는 이사회
- 무역상사 포스코인터의 '구동모터코아' 도전기
- 한일시멘트, 폐기물 재활용업 본격화...친환경 확대 시동
이종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1 정책형 뉴딜펀드]최종 위탁운용사 선정 '속도전'…다음주 판가름
- '친환경 복합 소재기업’ 대진, 50억 시리즈 B 투자유치
- 버추얼랩, 글로벌 '소재' 개발 플랫폼 공략
- DSC인베스트, 첫 무상증자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안준한 아도바 대표 “중국향 크로스보더 MCN 목표”
- 서울시 미래혁신성장펀드, 초기·성장 자펀드 키운다
- LB인베스트먼트, 와이더플래닛 투자금 일부 회수
- 피엔에이치테크, 커지는 VC 회수 기대감
- [thebell interview]유성준 대진 대표 "매년 100% 성장, 2022년 상장"
- LB인베스트먼트, 성장 동반자 ‘모비릭스’ 투자 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