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식 한화손보 사장, MG손보 신임 대표 내정 경영컨설팅·보험, 풍부한 실무경험 갖춘 적임자 평가… 보험업 불황·자본확충 이슈 과제
진현우 기자공개 2020-02-24 11:36:21
이 기사는 2020년 02월 21일 09:2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윤식 한화손해보험 사장(사진)이 MG손해보험 신임 대표에 내정됐다. 감독당국의 적기 시정조치 대상으로 분류된 MG손보의 경영 정상화를 이끌어낼 구원투수로 등판한 셈이다.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MG손보는 김동주 MG손보 대표 후임으로 박 사장을 내정했다. 박 사장은 후보로 경합한 여러 인물들 중에서 MG손보의 경영 정상화를 이끌어낼 가장 유력한 적임자로 점쳐졌다는 후문이다. 박 사장은 MG손해보험이 감독당국의 대주주 변경승인을 거친 뒤 진행될 주주총회에서 공식 선임된다.
박 사장은 오는 3월 예정된 한화손보 주주총회에서 공식 퇴임절차도 밟을 전망이다. 박 사장은 PWC코리아, 캡제미니언스트영 컨설팅을 거쳐 동부화재 부사장을 역임했다. 한화손해보험에선 2013년 6월 대표직에 오른 뒤 최초의 3연임 CEO로 고공실적을 이끌었다.

보험업 관계자는 “박 사장은 단순한 실적 개선만이 아닌 합병 이후의 조직문화 통합과 내부혁신을 이뤄낸 공로로 한화손해보험의 장기 CEO를 지내왔다”며 “상반기 중 자본확충 M&A를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되는 MG손해보험이 경영 정상화를 위한 적임자로 박 사장을 생각하는 것도 같은 연장선상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손보업계는 온라인자동차보험의 성장으로 자동차보험 부문의 경쟁강도가 갈수록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이에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료의 할인·할증 체계를 개편하고 실손보험의 요율 상향을 추진하는 등 수익성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보험업 전반에 걸친 성장성 둔화와 저금리 기조로 자본적정성 지표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오는 2022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적용되면, 보험부채를 현재가치로 시가 평가해야 한다. 과거엔 보험이 실현되면 부채를 계상하는 수순이었지만 지금은 상품별 위험률과 손해율을 산정해 상당한 양의 부채를 미리 쌓아야 한다. 일정 수준 이상의 지급여력비율(RBC)을 준수해야 할 보험사는 늘어나는 부채만큼 자본을 확충해야 하는 셈이다.
MG손해보험은 현재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와 자본 확충작업을 수반하는 매각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대주주 변경 승인이 오는 상반기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하나은행, 첫 유로화 커버드본드 프라이싱 착수
- 식지않은 금호리조트 인수 열기…숏리스트 전원 응찰
- [CFO 워치]포스코 경영혁신실, 구조조정 저승사자→이노베이터 '미션'
- [3기 두산 출발]'주 무기' 될 친환경 에너지 사업, 어디까지 왔나
- [건설 신사업 지도]DL그룹, 새로운 먹거리 '스페셜티' 화학서 찾는다
- [건설 신사업 지도]동부건설, 환경관리에 방산·상선까지 '공격행보'
- [건설 신사업 지도]현대건설, '신재생·친환경' 트렌드 전환 겨냥
- 쌍용차, 이동걸 회장 ‘강경 발언' 속 조건부 지원 기대
- '자산 재평가' 나선 한국종합기술, 재무개선 청신호
- 김종현 LGES 사장, 글로벌기업 DNA 심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