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토에버, '유동성 관리' 작지만 알찬 성과 [Company Watch]현금 보유량 증가, 실적 악화 속 선전…오너 지분 보유, 지배구조에 중요
김경태 기자공개 2020-05-04 07:37:01
이 기사는 2020년 04월 29일 1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오토에버가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속에서 그룹사와의 거래를 바탕으로 비교적 선방한 실적을 거뒀다. 또 그룹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동성 관리에도 성과를 냈다. 현금 보유량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앞으로도 선전을 이어간다면 지배구조 개편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보유 중인 현대오토에버 주식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장 후 주가가 내리막길에 있다는 점은 고민거리다.
◇현금 보유량 작년말보다 늘어
현대오토에버가 IR에서 현금 보유량을 밝히고 있다. 이는 연결 재무상태표상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을 더한 금액이다. 올해 1분기말 현금 보유량은 2962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7.9% 증가했다.
올해 1분기말 현금 보유량은 역대 최대 수준이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합계는 2015년 말에 1876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이듬해 바로 반전을 이룬 뒤 매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전체적인 현금 보유량 규모를 고려할 때 현대오토에버가 보유한 실탄은 크지 않다. 주력사 현대차의 연결기준 1분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단기매매증권 등을 더한 금액은 25조6132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사업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 그룹 주력 계열사 중 올해 1분기말에 작년 말보다 줄어든 곳이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성과로 볼 수 있다.
다른 일부 계열사처럼 차입을 늘리거나 회사채를 발행하지 않고도 현금 보유량이 늘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올해 1분기말 연결 차입금은 28억원에 불과하다. 지난해말의 32억원보다 오히려 줄었다.
또 연구개발(R&D)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관리가 이뤄졌다. 현대오토에버는 ITO(IT Outsourcing)와 SI(System Integration) 사업을 하는 곳으로 최근 R&D 비용을 점차 늘리고 있다. 올해 1분기 판관비는 20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8% 증가했는데, 연구개발비용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현대오토에버의 올해 1분기 연결 매출은 3290억원으로 7.2% 신장했다. 영업이익은 114억원으로 2.6%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89억원으로 3.1% 줄었다. 현대오토에버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의 확산에 따른 언택트(untact) 서비스 관련 매출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 사업을 담당하는 ITO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6.8% 늘어 효자 노릇을 했다.

◇호실적·성장 여부, 지배구조 개편에 중요
현대오토에버는 현대차그룹의 계열사 중 상장사 12곳에 포함되지만 규모가 주력사와 비교해 작은 편이라 시장이 덜 주목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그룹 내 수요를 바탕으로 2010년대에 급성장하고 있다. 또 IT기업으로서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도 활용도가 있어 호실적과 성장 여부가 중요하다.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현대오토에버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 수석부회장은 현대오토에버가 설립되던 초기부터 정몽구 회장과 더불어 주식을 갖고 있었다. 그는 작년 초 상장 과정에서 주식 201만주를 964억8000만원에 처분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현재 현대오토에버의 주식 201만주를 보유하고 있고 지분율은 9.57%다. 향후 주식을 추가로 매각해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소요될 자금으로 쓸 수 있다. 현대글로비스, 현대엔지니어링과 마찬가지로 현대오토에버가 정 수석부회장의 승계 실탄 마련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여기에 현대모비스가 주주인 점도 중요하다. 현대모비스 역시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보유 중인 현대오토에버 주식을 활용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 신한리츠운용, 알파·서부티엔디리츠 투자 콘셉트 확정
- 롯데건설, '마곡 르웨스트' 재분양 속도 낸다
- [건설리포트]GS건설, 하반기 수익성 제고 '정조준'
- [CAPEX 톺아보기]㈜신세계, 현금창출력 초과한 투자 집행…'성장' 방점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제약바이오 R&D 인사이더스]비보존 후속 자신감 원천, "R&D 전주기 아우르는 시스템"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R Briefing]삼성전자, '자사주 또 소각' 주가반등 사활
- [Company Watch]'예상 밖 선방' 삼성전자, MX사업부 '압도적 기여'
- [HB그룹은 지금]종합엔터 거듭난 HB엔터, '중국자본 동행' 기대감
- HPSP, 예스티 상대 소극적권리심판 항소
- 트럼프 시대, 삼성에 필요한 단어 '그룹'
- [HB그룹은 지금]HB테크놀러지·솔루션, 신성장동력 가시화 언제쯤
- [IR Briefing]LG전자, 조주완 승부수 '적중'·인도법인 IPO '느긋'
- [IR Briefing]'저점 확인' 삼성SDI, 신성장동력 '만반의 준비'
- 삼성전자 미국법인, 인하우스 로비스트 활동 강화
- [HB그룹은 지금]HB테크놀러지·솔루션, HPSP 투자 대박·삼성D 신뢰 '굳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