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 리뷰]SK텔레콤, 4년째 핵심과제 'New ICT' 청사진 완성②'미디어·보안·커머스' 섹터 확정…올해 '계열사 IPO' 계획 최초 적시
최필우 기자공개 2020-08-20 08:19:03
[편집자주]
국내 주요 기업들은 주기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자신들이 중요시하는 경제·사회적 가치를 제시하고 어떤 성과를 달성했는지를 공개한다. 한 꺼풀 벗겨보면 여기에는 그들이 처한 경영적 혹은 경영외적 상황과 고민이 담겨있다. 기업이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윤리·사회·환경문제에 기여하는 가치를 창출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해야 하는 요즘, 이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이 어떤지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0년 08월 19일 11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텔레콤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New ICT 전략'을 4년 째 핵심(Core) 이슈로 선정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 창출이 SK그룹 차원의 과제라면 New ICT는 SK텔레콤의 생존 전략이다. 매년 전략을 가다듬은 끝에 미디어, 보안, 커머스로 구체적인 섹터가 정해졌고 발전 방향과 기업공개(IPO) 청사진이 완성됐다.SK텔레콤은 지난달 발간된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New ICT(미디어, 보안, 커머스) 전략'을 핵심 과제로 분류했다. 중요도 순위는 4위였지만 2017년 이후 매년 핵심 이슈로 선정됐다는 측면에서 무게감이 상당한 이슈다. 최근 4년간 연속해 핵심 이슈로 꼽힌 키워드는 'New ICT'와 '5G' 정도다.

ICT 키워드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처음으로 언급된 건 2016년이다. 당시엔 'ICT 융복합화(ICT Convergence)'를 1순위 이슈로 꼽았다. 세컨드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증가, 사물인터넷(Iot) 본격화 등의 산업계 변화를 감안해 중요도를 평가했다. 다만 이와 관련된 SK텔레콤의 사업 전략은 구체화되기 전이다.
2017년 보고서에서는 이슈명을 'New ICT 전략'으로 변경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당시 SK텔레콤은 성장 정체로 고민 중이었다. 보고서 출간 직전해인 2016년 영업이익은 1조5357억원으로 전년 대비 1723억원(10%) 감소했다. 주력인 MNO사업 성장이 멈추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됐고 보고서에도 관련 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16년말 취임한 박정호 SK텔레콤 대표의 신사업 구상도 중요 이슈 선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SK텔레콤은 2018년 New ICT 전략을 1순위 과제로 꼽았다. 2018년은 SK텔레콤이 New ICT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가장 분주하게 움직였던 해다. SK텔레콤은 5월 ADT캡스를 인수해 보안 사업 영역을 구축한 데 이어 같은해 9월 11번가를 SK플래닛에서 분사시켰다. 11번가를 중심으로 한 커머스 사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기존에 자리를 잡고 있던 SK브로드밴드에 ADT캡스, 11번가가 추가되면서 주력 섹터가 정해졌다.

SK텔레콤은 2019년 보고서를 통해 New ICT 포트폴리오를 구체화했다. 직전 보고서에서 4대 사업을 △이동통신(MNO) △미디어 △IoT/Data △서비스플랫폼으로 꼽았던 것과 달리 2019년엔 △이동통신(MNO) △미디어 △보안 △커머스로 정했다. 보고서 출간 직전해인 2018년말 4대 사업부를 확정하고 각 사업부장이 관련 계열사 대표를 겸임하도록 한 조직개편 영향이다. 이슈 명도 New ICT 전략에서 'New ICT 포트폴리오'로 변화를 줬다.
올들어서는 New ICT 섹터가 한층 더 구체화됐다. 올해 보고서에서 이슈명이 'New ICT(미디어, 보안, 커머스) 전략'으로 변경되면서 사업 분야가 적시돼 당분간 섹터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조직차원의 변화도 있었다. SK텔레콤은 2019년말 지원 조직을 코퍼레이트1센터와 코퍼레이트2센터로 나누고 각각 통신과 비통신 부문을 맡도록 이원화했다. 이에 따라 New ICT에 해당하는 사업부들의 재량도 커졌다.
사업 섹터를 확정한 SK텔레콤은 이제 계열사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2019년 9월 SK브로드밴드의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기업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푹을 합병하며 내실을 내졌다. 올해 4월에는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를 합병, 유료방송 점유율 상승 효과를 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제약바이오 R&D 인사이더스]비보존 후속 자신감 원천, "R&D 전주기 아우르는 시스템"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 [건설리포트]삼성물산 건설부문, 도시정비 수주 성과 '뚜렷'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보로노이 'VRN11' 임상 데이터 이견, 핵심은 약 없는 'C797S'
- '승자' SK하이닉스의 책임
- [AACR 2025]제이인츠의 4세대 EGFR 신약 전략 '병용', 근거 마련했다
- [Company Watch]'압도적' 크래프톤, 현금성자산 '4조' 찍었다
- LX세미콘, 5년 투자 신사업 '방열기판' 빛본다
- [thebell interview]김경진의 삼양 바이오 청사진 "DDS 기반 CDMO·신약"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우리은행, '위기기업 대응 조직' 신설 자본비율 관리 고삐
- iM금융, 성공적 RWA 관리 'CET1 12%' 고지 올랐다
- [컨콜 Q&A 리뷰]신한금융,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율 제고 '자신감'
- 신한은행, 자금세탁방지부 '본부 격상·경영진 배치' 배경은
- 삼양사의 JB금융 지분 매각이 남긴 것
- [컨콜 Q&A 리뷰]우리금융, 올해 안정적 자본비율 관리 '최우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