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마그나, 합작법인 이사선임 3대 2 CEO와 CFO, LG전자 임원 구성 점쳐져…마그나는 COO 외 1명
원충희 기자공개 2020-12-28 07:27:45
이 기사는 2020년 12월 24일 10:3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전자와 마그나 인터내셔널의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의 이사선임권 배분에 대한 윤곽이 나왔다. LG전자에서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3명, 마그나 측은 최고운영책임자(COO) 등 2명을 선임하는 걸로 합의했다.내년 7월 출범 예정인 LG전자와 글로벌 자동차부품그룹 마그나 인터내셔널의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은 51대 49 지분구성을 갖게 될 예정이다. LG전자가 지배력을 확보한 상태(종속기업)에서 마그나가 2대 주주로 참여하는 구조다.
양사는 조인트벤처 이사회에 대한 협의도 마쳤다. LG전자 관계자는 "합작회사의 이사회 구성원은 5명으로 하되 LG전자에서 3명, 마그나에서 2명의 선임권을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LG전자 측 이사에는 CEO가, 마그나 측 이사에는 COO가 포함될 예정이다.
앞서 LG화학의 배터리사업을 분사해 만든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김종현 대표이사와 최고재무책임자(CFO) 이창실 전무, 모회사인 LG화학의 신학철 부회장과 지주회사 ㈜LG의 하범종 부사장이 선임됐다. 의장은 신 부회장이다.
이를 감안하면 LG마그나 역시 CEO, CFO와 더불어 모회사 LG전자 임원을 이사회 구성원으로 선임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만약 대표이사급이 온다면 권봉석 LG전자 사장 또는 배두용 부사장 중 1명이 맡을 공산이 크다.
사외이사 선임에 대한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합작법인은 비상장회사인데다 기업공개(IPO)를 염두에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법상 자산총계 2조원 이상 상장기업은 사외이사 제도를 의무적으로 갖춰야 한다.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의 분할 후 자산규모가 6697억원으로 추산되는 만큼 사외이사를 굳이 둘 필요는 없다.
신설합작법인은 내년 3월 24일 예정된 정기주주총회에서 물적 분할과 법인설립 승인이 이뤄지면 7월 1일자로 출범할 예정이다. 대표이사를 비롯한 이사구성원 윤곽은 주총 또는 출범일 전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정은 관계기관과의 협의나 해외법인 설립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분할계획서에 따르면 경과여부에 따라 합작법인 출범일이 5월 1일 또는 6월 1일로 앞당겨질 수 있다고 기재돼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비디아이, 신라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PT 진행
- 청보산업, 보그워너와 협력 강화 노력
- 파라투스·골든루트, 호산테크 PMI 본격화
- 메디포럼,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순항
- 미래사업 투자나선 KAI, 유동성 확대 드라이브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해외 실적 주춤한 DL이앤씨, 러시아 시장 노린다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몸집 줄어든 라온건설, 부채부담은 개선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대한전선 품는' 호반산업, 재무건전성 다졌다
- [thebell interview]김진 퍼틸레인 대표 "디지털 광고 인프라 기업 목표"
- 퍼틸레인, IPO 채비…주관사에 '미래에셋증권' 선정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반도체 생태계 리포트]SFA반도체, 범핑서 테스트까지 '턴키 확대' 승부
- 카카오, 멜론 분사 타이밍의 비밀은 손상차손?
- 네이버, 이마트와 지분 교환 차익 2000억 예상
- [이사회 분석]삼성전기, 20년 만에 과도한 보수한도 현실화
- ISS 반대에도 삼성전자 이사선임 찬성률 상승
- 이통 3사, 5G 주파수이용권 5711억 손상차손
- 삼성전자, 26년째 대부업체 대주주인 사연
- [다우기술 재조명]공채신입 출신 CEO 등장, 시대를 선도한 리더십
- '금수저' 멜론컴퍼니, 분사 후 투자유치는
- [다우기술 재조명]뿌리오와 사방넷, 소리없는 IT 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