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셋플러스 승계 서막]'유학파' 강자인 매니저, 리서치 기초부터 다졌다③헤지펀드팀장 승진, 책임운용역 부상...강방천 회장 "운용역량 쌓도록 기본부터 시켜"
김진현 기자공개 2021-03-29 12:41:29
[편집자주]
'가치투자 1세대' 강방천 회장이 가업승계의 초석을 닦고 있다. 에셋플러스 소속 펀드매니저로 이미 활약하고 있는 장남에게 다수 지분을 최근 증여했다. 세대교체와 더불어 가업승계의 기틀을 제대로 닦고 있는 셈이다. 세대교체의 첫발을 딛은 에셋플러스의 변화를 더벨이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1년 03월 25일 07:5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의 지분 일부를 증여받은 장남 강자인 매니저(사진)는 입사후 3년간 리서치 업무를 수행하며 기본기부터 다졌다. 2018년부터 펀드 매니저 생활을 시작해 지난해에는 RT헤지펀드팀을 이끄는 팀장으로 승진했다.강자인 RT헤지펀드팀 팀장은 1989년생으로 2014년말 에셋플러스자산운용에 입사했다. 위스콘신 주립대학 경영학과 출신으로 졸업 후 약 1년반 정도 외국계 컨설팅 회사인 헤이그룹(Hay Group)과 딜로이트컨설팅휴먼캐피탈(Deloitte Consulting Human Capital)에 근무하다 에셋플러스자산운용에 합류했다.

*출처:에셋플러스자산운용 Youtube 채널 발췌
공교롭게도 강 매니저가 입사한 직후 해당 조직이 꾸려진 셈이다. 강 회장 은퇴 이후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을 이끌어 갈 강 매니저를 포함한 미래 운용역들의 운용 역량 제고를 위한 조직으로 BMR센터를 만든 것으로 짐작된다.
장기적으로 승계 밑그림을 그리고 기본기부터 가르치려 했다. 강 팀장도 3년간 BMR센터에서 몸담으며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투자 대상 기업 재무, 기업활동 등을 분석하며 기본기를 쌓았다.
강 회장은 더벨과 통화에서 "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가 없이 투자하는 건 반드시 실패할 수밖에 없다"며 "기본기를 다지는 차원에서 BMR센터에 배치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리서치 센터에서 3년간 기본기를 다진 뒤 2018년부터 펀드 매니저 생활을 시작했다. RT국내운용팀에 몸담으며 공모펀드 매니저로 처음 등장한 게 '에셋플러스리치투게더30' 펀드 부책임 운용역으로 이름을 올리면서다.
2년간 해당 펀드의 부책임 운용역을 맡으며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여러 사모펀드 운용역으로도 활동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선물, 옵션 등을 활용한 헤지(Hedge) 운용과 차익거래에도 능해 사모펀드 운용을 담당해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에서는 강 매니저의 운용 스타일은 아버지인 강 회장과 닮았다고 말한다. 강 회장의 투자철학과 운용방법을 고스란히 배워왔기 때문에 투자 방식에 대해선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산업은 미래에너지, 자동차 산업이라고 전해진다. 미래운송수단인 전기차나 수소차 산업 등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매니저는 지난해말부터는 BMR센터가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에셋플러스알파로보코리아그로스', '에셋플러스알파로보코리아인컴' 책임운용역이 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 말 RT국내운용본부 아래 위치한 RT헤지펀드팀을 이끄는 팀장으로 승진했다. RT헤지펀드팀을 이끌면서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이 운용 중인 사모펀드 운용을 총괄하는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그는 회사 내에서 'Jay'라는 영어 이름으로 불린다.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은 강 매니저가 입사한 뒤 2015년부터 직급 체계를 없애고 영어이름을 사용하는 문화를 접목시켰다. 유학파인 강 매니저가 수평적 기업문화를 접목시키는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아버지인 강 회장은 'Chen'이라는 영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김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League Table]VC, 꽉 막힌 IPO 대신 장외 시장 회수로 '선회'
- [thebell League Table]한파 닥친 회수 시장, PE 회수가 '웃풍' 막았다
- '금성백조 오너가' 라이징에스벤처스, 영역 확대 나선다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파트너스, 모기업 펀딩 '최후의 보루' 활용
- 인터베스트, 벤처 조합 AUM 1조 돌파 '순항'
- [기업형 VC 돋보기]벤처투자 한획 이용성 대표, 원익투자 성장 '일등공신'
- [2022 VC Forum]"VC 시장 활성화 세컨더리펀드·민간투자 확대 필요"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홀딩스, VC 보유 회피 솔루션 '싱가포르 법인'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투자파트너스, 출범 키워드 '한미은행·협성회'
- 레이저쎌, 약세장 속 흥행 VC 자발적 확약 '한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