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디테일]세동, 유입자금 재무개선 마중물 삼나②69억 자본 확충효과, 수익성 개선 난제 풀어야
김형락 기자공개 2021-05-03 09:01:44
[편집자주]
자본금은 기업의 위상과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 회계 지표다. 자기자금과 외부 자금의 비율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기도 한다. 유상증자는 이 자본금을 늘리는 재무 활동이다. 누가,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근간이 바뀐다. 지배구조와 재무구조, 경영전략을 좌우하는 이벤트이기 때문이다. 더벨은 유상증자 추진 기업들의 투자위험 요소와 전략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1년 04월 29일 07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세동이 유동성 위험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상증자로 곳간을 채우며 추가 차입을 억제하는 모습이다. 자본을 확충해 재무구조 개선 단초도 마련했다. 수익성 회복이라는 해묵은 과제를 풀어내기 위한 재무 전략을 펴고 있다.세동이 주가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장 평가에 따라 유상증자 모집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지난 23일 69억원(예정 발행가액 1430원 기준) 규모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계획대로 자금을 운용하려면 주주들의 호응을 끌어내야 한다. 오는 6월 10일 발행가액 확정일까지 지금 주가 수준(지난 23일 종가 2345원)을 유지해야 모집 규모를 사수할 수 있다. 확정 발행가액은 1차 발행가액과 2차 발행가액 중 낮은 가격으로 정한다. 최종 실권주는 대표 주관사가 인수해 청약 미달 위험은 없다.
유입자금은 운영자금(48억원)과 시설자금(18억원)으로 쓴다. 전기차 부품 생산라인 구비를 최우선 순위로 뒀다. 세동은 자동차 외관 부품 제조업체다. 전기차 신차종 부품을 수주해 수익성 개선을 도모한다.

증자 대금은 재무구조 개선을 이끄는 마중물이기도 하다. 자본총액이 늘어나 재무 지표 개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1212%(연결 기준)에 이르는 부채비율을 절반 수준으로 끌어내릴 수 있다.
세동 재무 지표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었다. 수익성 부진이 발목을 잡았다. 2014년부터 이어진 영업적자로 결손금이 쌓이며 자본총계가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말 누적 결손금은 182억원이다.
2018년부터 부채비율이 급격히 치솟았다. 단기유동성 지표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2014년부터 연결 기준 유동비율은 50%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100)이 100%보다 낮으면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으로 1년 이내 상환해야 할 부채를 갚지 못할 수도 있다고 평가한다.

지난해 특단의 조치를 취했다. 자산 유동화와 감자를 병행해 재무구조를 손봤다. 지난해 12월 액면가 500원 보통주 2주를 1주 무상병합하는 감자를 진행했다. 자본잠식률 50% 이상 요건을 해소해 관리종목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다.
본사로 쓰고 있는 부산공장까지 내놓았다. 지난해 부산공장과 아산공장을 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해 271억원을 손에 쥐었다. 양도 후 5년간 의무 임대차 계약을 맺는 판매 후 리스 거래 형태다. 양산공장도 처분해 80억원을 확보했다.
유동성 위험 통제에 방점을 찍었다. 공장 매각대금은 금융기관 유동성 차입금 상환에 투입했다. 지난해 별도 기준 재무활동현금흐름에 그대로 드러났다. 단기차입금 상환 명목으로 306억원이 빠져나갔다. 단기차입금 증가 항목은 71억원 유입에 그쳤다.
다만 부산공장과 아산공장 매각대금은 장기차입금으로 잡혀 부채비율은 낮추지 못했다. 부동산 매매 계약이 기업회계기준서 통제 이전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세동은 임대차 계약 기간 만료 3개월 전까지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두 공장을 재매입 할 수 있다. 매각한 공장 부동산은 계속 유형자산으로 인식하고, 받을 대가는 금융약정으로 보고 차입금으로 계상했다.
남은 과제는 수익성 개선이다.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재무구조를 뜯어고쳐도 영업적자를 끊어내지 못하면 모두 미봉책에 불과하다.
세동 관계자는 "지난해 공장을 매각해 유동성 차입 규모를 줄였다"며 "전기차 부품 쪽 투자를 늘려 신자 전환을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DS단석, 켄텍과 미래 에너지 신산업 생태계 구축 MOU 체결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thebell interview]"바로팜, '약국·제약사·소비자' 상생 생태계 방점"
- [VC 경영분석]TS인베 흑자전환…하반기 세컨더리펀드 관리보수 기대
- 프렌드투자, 카이스트 모빌리티 연구소와 맞손
- [LP Radar]성장금융, 상반기 6개 출자 대기…딥테크·반도체 집중
- 핀테크혁신펀드, 주목적 비율 낮추자 경쟁 '치열'
- 유한의 캐시카우 'CDMO', 유한화학 뒷배 '길리어드'
- HLB의 넥스트 리보세라닙 구심점 'HLB제넥스' 활용법
- 삼진제약, 비공개 60억 대여금 제공…대상은 '아리바이오'
- [삼성 바이오 재편]삼성바이오로직스, 특관 제거 효과 '매출 늘고 리스크 던다'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CEO 선임 절차 투명성은 국내 금융지주 '우위'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이사진 자주 모이는 곳은 씨티그룹·신한금융
- 롱런 사외이사의 빈자리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은행]국내 금융지주, 이사회 기능 더 분산한 이유는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우리금융, 역량 평가 진일보…씨티·웰스파고 등도 세분화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기업 운영 'C레벨' vs 식견 지닌 '교수'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사외이사 장기근속 …사유화냐 vs 전문성이냐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70세' 획일 적용 맞나…베테랑 모시는 미국 은행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은행]미국 은행 사외이사 비율 90% 육박
- [thebell interview]"삼성 준감위, 이사회 중심 경영 함께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