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06월 11일 07:4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16년 국내 IPO 시장에선 주요 플레이어 간 대형 이벤트가 있었다. 주관 증권사들이 수요예측 참여 국내 기관에 청약수수료(배정액 1%)를 사상 처음으로 부과했다. 그전까지 청약수수료는 글로벌 표준이었만 국내선 예외였다. '갑'인 기관 눈치를 심하게 본 탓이다.당시 관행을 깬 곳은 넷마블과 NH투자증권이다. 10조원대 밸류에이션을 제시한 만큼 작은 변수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었지만 발행사는 주관사단의 합리적 제안을 흔쾌히 수락하면서 물꼬를 틀 수 있었다. 넷마블은 큰 위기는 커녕 대흥행으로 증시에 입성했다.
최근 삼성증권이 일반고객 대상 온라인 공모주 청약수수료를 책정하자 5년전 사례가 오버랩됐다. 개인고객의 경우 온오프라인 및 등급별 차등이란 점에서 일괄적용된 기관 수수료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불특정 다수 대상이란 측면에선 파급력은 더 클 수도 있다.
사실 5년전 기관 청약수수료는 '해선 안되는' 명분이 전혀 없었다. 1% 비용때문에 큰 수익을 포기할 기관은 아무도 없었지만 기관 반발 우려 탓에 누구도 나서지 못했다. 결국 IPO 리딩 증권사가 금기를 깼다. 초기 불평도 많았지만 지금은 전 증권사가 적용한다.
예상대로(?) 삼성증권은 개인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복수청약제가 없어지니 이를 만회하기 위한 수익 목적 얘기부터 다양한 이유로 개인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무료 대신 줄곧 개인 청약수수료 정책을 이어온 한국투자증권과 SK증권도 있는데 말이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공모주 시장은 어느 때보다 개인 청약수수료 도입 명분이 커졌다. 공모주 광풍으로 인해 PB센터가 업무 과부하에 신음하는가 하면 전산사고도 잇따라 터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증권사 리테일의 주역인 충성고객 서비스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
눈치를 보는 타 증권사들은 여론과 별개로 수수료 도입을 조용히 검토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으로 몰려드는 개인 고객을 감안하면 청약수수료가 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2000원 아끼려고 투자를 회피하는 고객은 없었다.
일반고객 입장에서도 발상의 전환을 해보자. ‘공짜’로 청약 서비스를 받고 문제가 생겨도 별말 하지 못하는 것보다 정당하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권리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게 낫지 않을까. 고객 대응 과정에서 본인에 적합한 스타일의 증권사를 찾을 수도 있다.
공모주 청약수수료 무료는 ‘디폴트(상수)'가 아니다. 굳이 ‘디폴트’를 따지면 청약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고 무료는 일종의 혜택이다. 유료 정책은 누군가 이를 권유 혹은 독촉할 이유가 없는 증권사 선택의 영역일 뿐이다. 개인 고객도 아쉬움 정도면 충분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방메디컬 IPO In-depth\안정적 재무·실적에도 상장, '글로벌 메디컬 리더' 비전 묘수
- 글로벌 혁신기술 인증 덱스레보, 국내 허가 '청신호'
- [글로벌 파이낸스 2024]신한은행 뉴욕지점, 선제적 체질 개선…지속성장 기반 마련
- 사업부진·재무부담 이중고 SKC, '내실 경영' 본격화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금호타이어, 부채비율 199% ’매출·수익성·재무’ 다 잡았다
- [SK이노베이션 밸류업 점검]'ROE 10%' 목표…조건은 E&S 시너지-배터리 부활
- [ESG 등급 분석]'SKC 편입효과' ISC, 통합등급 두 계단 상승
- '27년의 수소 헤리티지' 현대차 이니시움, 특별한 세가지
- 주주환원 의지 재확인한 현대글로비스 ‘ROE 15%’ 타깃
- 리밸런싱 성과 '끝장토론'...SK CEO 총집결 현장 가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