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캐피탈 장기CP, 만기 무려 5년…규모도 커졌다 2달 전에도 2400억 규모 발행, 금리 변동성 대응 차원
이지혜 기자공개 2021-08-20 08:57:16
이 기사는 2021년 08월 19일 11:2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메리츠캐피탈이 두 달 만에 장기 기업어음(CP)을 다시 발행한다. 발행규모는 직전보다 적지만 만기가 길어졌다. 2016년 장기CP 시장에 데뷔한 이래 5년물을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장기CP 시장에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메리츠증권도 장기물 발행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19일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메리츠캐피탈이 27일 장기CP를 모두 600억원 규모로 발행한다. 만기는 5년 단일물이다. 조달금리는 2.3%에 책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국증권이 대표주관사를 맡았다. 장기CP로 조달한 자금은 대출과 리스, 할부 등 올해 9월 신규영업자금으로 쓰인다.

올해 발행한 장기CP는 과거보다 규모가 커지고 만기도 훨씬 길어졌다. 메리츠캐피탈이 장기CP를 발행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장기CP로 네 차례 자금을 조달했다. 다만 발행규모는 1000억원 이내였고 만기도 2년보다 짧았다. 그러나 올해 6월 30일 발행된 장기CP는 모두 2400억원 규모로 3년물이다.
메리츠캐피탈 관계자는 "조만간 금리가 오를 수 있어 투자자들이 여전채 투자에 소극적"이라며 "장기CP는 시가평가가 아닌 장부가평가를 진행하기에 시장금리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 상대적으로 안정적 투자처가 될 수 있어 최근 발행여건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다만 일괄신고제가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메리츠캐피탈 등 여전사들은 여전채를 자주 발행하기에 수요예측을 치르지 않고도 신속히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일괄신고제를 활용한다. 일종의 혜택이라고 볼 수 있다.
장기CP는 금융당국에 제출한 일괄신고 물량에 포함되지 않아 관리와 감독을 받지 않는다. 조달상 편의는 누리지만 금융당국의 관리 사각지대를 넓히는 부작용이 생기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금융당국의 감독을 받고 있다"며 "관리 사각지대를 넓히는 게 아니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수익성 개선' 광림, 2년 연속 신용등급 상향
- [IPO 모니터]심사 통과 아이씨에이치, 1년새 3배 넘게 '밸류업'
- 카카오게임즈, 오딘 다음은 '우마무스메' 연타홈런 노린다
- 넷마블, 자체 IP 부족 세븐나이츠로 돌파할까
- [ESG 모니터/네이버]'각 세종'에 담긴 '2040 카본 네거티브' 의지
- [빚투 기생시대 종언]신용공여 '거품' 빠진다...쏠쏠한 재미 미래·삼성 '휘청'
- 투심 움직인 영창케미칼의 '화려한 고객 라인업'
- LX세미콘, '미래성장동력' 확보 사활
- 롯데도 눈길 준 블로코, 900억 밸류 인정…수익 개선 속도낸다
- e스포츠 강자 T1, IP 기반 사업 다각화 순항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thebell League Table]'흔들린' 시장 '확고한' KB
- [thebell League Table]ABS가 순위 갈랐다...KB DCM 1위, NH '맹추격'
- 신용도 'A+' 한화에너지, 사모채 발행 '산은 후방지원'
- 삼척블루파워, 나신평마저 등급 강등…ESG '직격탄'
- [IPO 모니터]지피클럽, 글로벌사업 확대…코로나에도 굳건한 지위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리딩증권 김충호, 부회장 직함 달고 각자대표
- KB지주 '전략통' 김세민, KB증권 이사회 합류...그룹 비전 '공유'
- KT, 수요예측 '오버부킹'…초우량 신용도·안정성 부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