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광주신세계 지분 전량 ㈜신세계에 매각…2300억 확보 '승계재원' 개인 계열사 정리, '계열분리' 마지막 연결고리 끊어
전효점 기자공개 2021-09-14 17:38:20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4일 17:3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광주신세계 지분 전량을 ㈜신세계에 넘기며 2300억원에 이르는 실탄을 손에 쥐었다. 광주신세계는 정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핵심 재원으로 꼽혀온 계열사다. 이번 지분 매각을 기점으로 정 부회장과 ㈜신세계의 마지막 연결고리가 끊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광주신세계 보유 지분 52.08%(83만3330주)를 2대주주 ㈜신세계에 매각했다. 신세계는 정 부회장 지분을 매입하면서 광주신세계 62.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거듭났다.

광주신세계는 정 부회장이 개인 최대주주로 있는 유일한 계열사다. '정용진=이마트', '정유경=백화점'으로 굳어진 분리 경영 구도를 감안하면 광주신세계는 지배구조상 정유경 총괄부사장이 이끄는 ㈜신세계에 귀속돼야 하는 게 맞다. 이 때문에 분리 경영 구도가 확립될수록 정 부회장이 광주신세계 지분을 정리해 현금을 손에 쥐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관측됐다.
당초 유통업계에서는 2018년 말 광주신세계가 일부 보유하고 있던 대형마트 사업부문을 ㈜이마트에 양도할 당시부터 정 부회장의 개인 지분 매각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그러나 코로나19를 거치면서 기업가치가 하락하자 지분 정리 일정도 자연스럽게 뒤로 밀려났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주가를 전성기 수준으로 회복하면서 정 부회장도 지분 정리를 결단했다.
14일 현재 광주신세계 주가는 주당 22만8500원이다. 정 부회장은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23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
정 부회장은 매각 대금으로 이명희 회장으로부터 지난해 승계받은 이마트 지분에 대한 상속세 분납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이 회장이 여전히 이마트 지분 10%를 들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상속이 임박했다는 시그널로도 해석할 수 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신세계 입장에서는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개선하는 의미가 있다"며 "정 부회장은 승계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지분 매각을 단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수익성 개선' 광림, 2년 연속 신용등급 상향
- [IPO 모니터]심사 통과 아이씨에이치, 1년새 3배 넘게 '밸류업'
- 카카오게임즈, 오딘 다음은 '우마무스메' 연타홈런 노린다
- 넷마블, 자체 IP 부족 세븐나이츠로 돌파할까
- [ESG 모니터/네이버]'각 세종'에 담긴 '2040 카본 네거티브' 의지
- [빚투 기생시대 종언]신용공여 '거품' 빠진다...쏠쏠한 재미 미래·삼성 '휘청'
- 투심 움직인 영창케미칼의 '화려한 고객 라인업'
- LX세미콘, '미래성장동력' 확보 사활
- 롯데도 눈길 준 블로코, 900억 밸류 인정…수익 개선 속도낸다
- e스포츠 강자 T1, IP 기반 사업 다각화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