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미래전략 '첫발'...조현범 사장 입지 '확대' 캐나다 광학 MEMS 기업 2000억 지분 인수
김서영 기자공개 2021-12-03 07:35:20
이 기사는 2021년 12월 01일 10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옛 한국타이어그룹)이 미래 신성장 전략 추진에 '첫발'을 뗐다. 캐나다 광학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업을 200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그간 신사업에 대한 인수합병(M&A) 의지를 꾸준히 내비쳐왔던 만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다.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사장의 적극적인 리드가 뒷받침됐다는 분석이다.1일 타이어업계에 따르면 한국앤컴퍼니그룹의 지주사 한국앤컴퍼니가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개최해 신규 지분 투자를 결정했다. 캐나다 기업인 'Preciseley Microtechnology Corporation(이하 프리사이슬리)' 지분 36.71%를 1227억원에 인수하는 것이 골자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도 공동 출자에 나선다. 한국타이어가 인수하는 몫은 지분 24.48%로 818억원에 해당한다. 한국앤컴퍼니와 한국타이어의 지분을 모두 합하면 59.19% 수준이다. 지주사와 핵심 계열사가 손잡고 2045억원을 투입하자 그룹 전체가 이번 지분 투자에 거는 기대가 큰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광학 MEMS 시장에서는 고도의 정밀도와 내구성 검증이 필요해 글로벌 소수의 기업만이 상용화 및 양산에 성공한 상황"이라며 "프리사이슬리는 확고한 기술력으로 시장 점유율 1위 차지하며 글로벌 IT 및 통신 업체들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지분 투자는 올해 5월 한국앤컴퍼니그룹의 미래 성장 포트폴리오 'S.T.R.E.A.M(스트림)'의 일환으로 이를 발표한 뒤 처음 거둔 성과라는 데 의의가 있다.
'S.T.R.E.A.M'이란 △친환경 배터리 및 신재생 에너지(Smart Energy) △타이어 및 관련 핵심 산업(Tire&Core biz) △미래 신기술 활용 사업 다각화(Rising Tech) △전동·전장화 부품 △기술·솔루션(Electrification) △로봇·물류 등 자동화 및 효율화(Automation) △모빌리티 산업 전반(Mobility) 등의 영문 앞글자를 딴 것으로 그룹의 핵심 진출 분야를 의미한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의 신사업 갈증을 해소할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타이어 제조업게 국한된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신사업 진출을 모색해왔으나 뚜렷한 결실을 얻지 못했다. 한국타이어는 2017년 말 호주 타이어 유통업체 작스타이어즈를, 2018년에는 모델솔루션(시제품 모델 생산)과 라이펜 뮬러(타이어 유통업)를 인수한 바 있다.
신사업 추진을 위한 실탄도 충분한 상황이다. 한국타이어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올해 9월 말 연결 기준 2조620억원으로 2조원을 돌파했다. 2년 전인 2019년(9107억원), 지난해(1조7076억원) 현금및현금성자산과 비교하면 각각 126.4%와 20.8% 급등한 수준이다.
조현범 사장이 한국앤컴퍼니그룹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앤컴퍼니의 올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월14일 이사회를 개최해 '신규투자 검토 진행상황 보고'의 단일 안건을 가결했다. 이 자리에서 프리사이슬리 인수 논의가 진전을 이룬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앤컴퍼니가 단일 안건을 위해 이사회가 소집된 것은 올들어 처음이다. 그만큼 프리사이슬리 인수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경영진 모두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사안으로 해석된다.
조 사장의 형이자 조양래 한국앤컴퍼니 회장의 장남인 조현식 한국앤컴퍼니 부회장은 이날 이사회에 '불참'했다. 조 사장의 주도로 딜이 진행됐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앞서 올 4월 한국앤컴퍼니 대표이사 자리에서 사임한 조 부회장은 부회장과 사내이사직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한국앤컴퍼니그룹의 미래 전략 구축과 신성장 동력 발굴, 핵심사업 경쟁력 강화 등을 담은 미래 성장 포트폴리오 ‘S.T.R.E.A.M’을 기반으로 이번 인수를 추진했다"며 "프리사이슬리에 대해 미래 성장과 함께 추가적인 비즈니스 확장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를 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