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자산운용, 스튜어드십코드 대열 뒤늦게 합류 운용사로는 57번째…낮은 주식 비중으로 행사 제한 우려도
윤기쁨 기자공개 2022-03-28 08:04:23
이 기사는 2022년 03월 25일 10:3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진자산운용이 공모운용사로서는 비교적 늦게 스튜어드십코드 대열에 합류했다. 보유 자산 중 주식형 비중이 낮아 의결권 행사에 제한이 있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진자산운용은 지난달 한국형 스튜어드십코드(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을 도입했다. 자산운용사로는 57번째다. 상당수 공모운용사들이 2018년도에 모든 도입을 끝냈다는 점을 고려하면 늦은 행보다. 유진운용은 금융투자협회에 등록된 358개사 운용사 중 설정액 기준 상위 36위에 해당한다.
이번 조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기조와 자산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기관투자자의 책임과 역할이 강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유진운용에서 스튜어드십코드는 증권운용본부에서 담당한다. 맹주현 상무가 총괄 책임을 맡는다. 증권운용본부 산하 김수연 ESG리서치팀장, 도호찬 주식운용실장 등이 업무를 함께 담당할 예정이다.
제정된 가이드라인에는 △주주의 권리 및 주주총회 △이사회 평가 및 이사 활동공개 △감사 및 감사위원회 △임직원의 보상 △기업구조조정 △기업인수·인수방어·위임장 대결 △지속가능 경영 등 구체적인 의결권 행사 원칙을 담았다.
스튜어드십코드는 2016년 국내 도입됐다. 당시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다 국민연금과 사학연금 등이 순차적으로 도입하면서 운용사도 합류하기 시작했다. 2017년 한국투자신탁운용, 트러스톤자산운용, KB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을 시작으로 2018년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대신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등 상당수 공모운용사가 도입했다.

현재 유진운용은 ‘유진챔피언K메가트렌드따라잡기’(운용규모 기준 194억원), ‘유진챔피언공모주’(1832억원), ‘유진챔피언글로벌월배당ETF’(22억원), ‘유진챔피언뉴이코노미AI4.0’(100억원), ‘유진챔피언배당주’(14억원), ‘유진G-BEST’(2억원), ‘유진인덱스알파’(19억원) 등의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펀드를 통해 담고 있는 종목인 삼성전자, 네이버,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오토에버, 유니테스트, 삼성전지, 카카오게임즈, 하이비젼시스템 등도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다. 스튜어드십도입이 구색 맞추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유진자산운용 관계자는 “때가 됐다고 생각해 도입하게 됐다”며 “의결권 행사는 수시로 있는 건이 아니기 때문에 당장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율호머티리얼즈, 아쿠아메탈스·한양대연구소 MOU 체결
- [Company Watch]잘 나가던 인텔리안테크, 돌연 수익성 '주춤'
- [스팩 합병 디스카운트 점검]매출 300억 약속한 라온텍, 3분기 누적 '70억' 불과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지분 11%'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 지배력 높일 묘수는
- [스팩 합병 디스카운트 점검]'시총 30%' 뛴 엑스게이트, 400억 매출목표 달성 '글쎄'
- [thebell note]"피곤하지만 싫진 않아"
- 로우카본 “한국 특성 고려한 DACCS 기술 필요”
- '나스닥 상장' 캡티비전, 합병구조 '독특하네'
- [thebell note]스팩, '공급 과잉'의 그림자
- [Red & Blue]지배구조 재편 마친 드림텍, 신사업 기대감 커진다
윤기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B운용, ETF 브랜드 바뀔까…이미지 제고 잰걸음
- 대체투자 늘리는 칸서스운용, 여수 오피스텔 투자
- 씨스퀘어, 업황 침체 불구 고유재산 투자로 선방
- [Red & Blue]아웃도어계 에르메스 감성코퍼, 고급화·해외진출 호재
- [2023 더벨 헤지펀드 포럼]"PDF·메자닌·세컨더리 투자 각광, 고금리 환경서 수혜"
- KB운용, '친환경·월지급' ETF 점유율 두자릿수 목전
- [자산운용사 경영분석]우리운용, 투자일임서 성과…1년새 순이익 '급증'
- [앞광고 놀이터 ETF]우후죽순 쏟아지는 테마, 마케팅 올인 '출혈경쟁'
- [앞광고 놀이터 ETF]편당 2000만원 호가…유튜브 '불여일견' 전략
- [앞광고 놀이터 ETF]차별화 보다 마케팅 "인플루언서 모시기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