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비맥주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 나선다…DB형 투자 시동 미래에셋생명 등 연 5% 안팎 목표 수익률 제시
이돈섭 기자공개 2022-04-13 08:09:52
이 기사는 2022년 04월 11일 15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오비맥주가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에 팔을 걷어붙였다. 확정급여(DB)형 적립금의 5분의 1가량을 투자상품으로 운용해 수익률 개선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해 대우건설에 이어 이번 오비맥주까지 비슷한 시도들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비맥주는 이달 초부터 지난 8일까지 약 일주일간 DB형 적립금 위탁일임 운용사를 선정하기 위해 퇴직연금 사업자 입찰 절차를 진행했다. 해당 입찰에는 미래에셋생명 등 복수의 금융사가 참여했다는 전언이다.
2020 사업연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오비맥주 DB형 적립금 사외적립자산은 1072억원이다. 이중 200억원 정도를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DB형 적립금은 대부분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운용해왔다.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 등 퇴직연금 사업자가 입찰 주체로 참여하지만 운용 비히클은 자산운용사가 제공하게 된다. 자산운용사들은 오비맥주 재정상황을 검토한 뒤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고 투자 모델링을 설계해 최적의 운용 솔루션을 제공한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기업 임금 상승률과 부채 관리 목표 등을 감안해 최적의 운용 방법을 찾는다는 의미에서 대부분 외부위탁운용관리(OCIO) 콘셉트를 내세웠다"며 "대부분 사업자들이 연 4~5% 수준 목표 수익률을 제시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오비맥주가 DB형 적립금 일부를 실적배당형으로 운용키로 한 것은 수익률을 제고해 부채 부담을 절감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앞서 대우건설도 DB형 적립금의 일부를 실적배당형으로 굴리기로 하면서 지난해 말 신규 사업자를 선정키도 했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151조원 규모 DB형 적립금의 90% 이상이 은행 예·적금과 주가연계사채 등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운용되면서 연 1% 안팎 수준 수익률을 내는 데 그쳤다. 대부분 임금상승률에 미치지 못해 사실상 마이너스 수익률을 낸 셈이다.
하지만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개정안이 이달 중순 시행되면서 운용 행태에 적잖은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에 따르면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인 사업자가 DB형 적립금을 운용하고 있는 경우 반드시 적립금 운용위원회를 구성해야만 한다.
퇴직연금 담당 임원과 근로자 대표,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해 연 1회 이상 적립금 운용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적립금 운용 실적 개선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원회가 구성되지 않거나 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지난해 대우건설과 이번 오비맥주의 시도 역시 관련 제도 시행을 앞두고 적립금을 보다 적극적으로 운용해 장기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연금 시장의 되돌릴 수 없는 트렌드인 셈"이라고 말했다.
반면 업계 일각에서는 금리 수준을 소폭 올린 원리금보장형 상품을 제시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되는 상황이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비용을 투입하는 형식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투자 상품으로 장기 수익률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감액배당 리포트]엘앤씨바이오 밸류업 시동…감액배당 순기능 표본
- [감액배당 리포트]HLB그룹 결손금 보전위해 자본준비금 활용
- [thebell interview]유비케어 조타수 맡은 '영업왕' 출신 사외이사
- [감액배당 리포트]재무개선 효과에 주주환원 극대화…'일석이조'
- [thebell interview]"권한은 지분율만큼만…주주 재산권은 불가침 영역"
- [TAX & 밸류업]세정지원 전무…밸류업 우수 기업 한정 혜택뿐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빅데이터 전문가의 베팅…반등기미는 '아직'
- [밸류업 성과 평가]KG그룹 주요 계열사 지배구조 허점…밸류업 효과 무색
- [베테랑 사외이사 열전]주성도 이사, 대표부터 사외이사까지…2금융권 섭렵
- 주주가 된다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