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M&A]'14년의 변화' 외형 줄어도 경쟁력은 여전자산 16조에서 12조대로...기술력은 여전히 글로벌 최고
조은아 기자공개 2022-09-28 15:06:16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7일 08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해양이 돌고 돌아 14년 만에 한화그룹 품에 안긴다. 그 사이 한화그룹은 재계 10위 안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조선업이 극심한 부진을 겪으며 바닥을 치고 반등하는 동안 대우조선해양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2008년 당시 조선업계는 '자고 나면 신기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상 최고 호황이 지속됐다. 대우조선해양뿐만 아니라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을 더해 글로벌 1위 한국 조선업계는 밀려드는 주문 덕에 수주액, 수출액 등 모든 면에서 사상 최고기록들을 갈아 치웠다.
매물로 나오자 조선업계뿐만 아니라 비(非) 조선업계도 관심을 보일 정도로 대우조선해양은 알짜 매물로 꼽혔다. 당시 규모나 수익성 측면에서도 재계 순위를 뒤흔들 만한 매물이었다.
당시와 지금을 비교하면 자산과 인력 등 외형을 보여주는 지표는 큰 폭으로 줄었다. 그러나 조선업계 전체가 동반 침체에 빠졌던 만큼 대우조선해양의 기술력을 포함한 자체 경쟁력은 그때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다. 순위 역시 여전히 글로벌 3위를 유지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자산 규모는 2008년 무려 16조원대에 이르렀다. 특히 2006년 6조원대에서 2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자산 규모가 비정상적으로 급증한 이유는 선박 수주와 동시에 지급되는 계약금과 선박 인도 직전까지 지급되는 건조 대금이 모두 재무제표상 부채로 인식됐기 때문이다. 일반 기업의 자산 증가와는 다소 결이 다르지만 그만큼 수주가 많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지금은 당시와 비교하면 자산 규모가 12조원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지난해 자산 규모는 10조원대였다. 인력 역시 급감했다. 2008년 임직원 수는 1만2000명 안팎을 오갔다. 그러나 올 6월 기준으로는 8500명대다. 30% 가까이 줄었다.
자산과 인력이 급감한 건 2016년부터 이뤄진 대우조선해양의 자체 구조조정 영향이 크다. 당시 대우조선해양은 인력 감축, 국내외 자회사 14곳 매각, 플로팅도크 매각 등의 내용이 담긴 자구안을 제출했고 이를 상당 부분 이행했다.
실적 역시 나무랄 데 없었다. 2007년 대우조선해양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조1048억원과 3275억원이었다. 부실자산은 전혀 없었고 오랜 기간 수주 행진을 이어온 덕에 보유하고 있던 현금만 2조원이 넘었다. 특히 이 현금은 대우조선해양 인수전에 굴지의 대기업들이 뛰어들게 만든 매력 요소이기도 했다. 2008년의 경우 매출은 12조원을 넘었고 영업이익은 무려 7000억원대였다. 당시 연이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을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해 대우조선해양은 매출 4조4865억원, 영업손실 1조754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급감했고 장기 불황 때 맺은 저가수주 계약과 후판 가격 인상, 고정비 부담 증가 등으로 적자를 이어갔다.
현재 보유 현금은 1조2000억원 수준이다. 한참 곳간이 비어있던 2016년과 2017년 보유 현금이 1000억~2000억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나마 큰 폭으로 증가했다.
대부분 지표가 악화됐지만 변하지 않은 것도 있다. 기술 경쟁력은 여전히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2008년 대우조선해양이 알짜 매물로 꼽힌 건 단순 자산이나 매출 등 규모 때문만은 아니었다. 유조선과 LNG선, 군함과 잠수함 등 선종을 아우르는 기술력을 갖췄다는 점 역시 몸값을 높인 요인이었다. 당시 고유가 행진으로 관심을 한몸에 받던 해양플랜트 역시 대우조선해양이 강점을 갖춘 분야였다.
대우조선해양은 오랜 기간 KDB산업은행 아래에서 제대로 된 투자를 받지 못했음에도 여전한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 비용 비율은 1% 안팎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 비용 비율이 0.5~0.6%대를 오가는 점을 볼 때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절대적 금액만 봤을 때도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을 연구개발에 투입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소폭이나마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연구개발비용은 722억원 수준으로 전년과 비슷했다. 2020년보다는 5%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현대중공업 조선사들이 모두 합쳐 연구개발 비용으로 851억원을 썼다는 점만 봐도 대우조선해양이 규모와 비교해 꽤 많은 공을 연구개발에 들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구개발 인력은 300여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클라우드, 공공 넘어 민간 영역 '도전장'
- [IR Briefing]삼성전자, 파운드리 정상화…'엑시노스' 본격 양산
- [Company Watch]골프존, 저무는 국내 시장에 해외로 돌린 눈
- [Company Watch]한화비전, 수출액 3000억 돌파 '북미 공략 적중'
- [감액배당 리포트]엘앤씨바이오 밸류업 시동…감액배당 순기능 표본
- [Financial Index/포스코그룹]그룹 수익성 '30%' 감소, 나홀로 성장한 스틸리온
- [Deal Story]신종자본증권 '대흥행' 우리금융, 4000억 증액 확정
- [소노인터내셔널 IPO]모나용평의 추억, 다시 만난 미래에셋·대신증권
- 계열분리 SK스페셜티, 최대 3500억 회사채 조기상환 착수
- SBS, 최대 1500억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 타진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은행권 알뜰폰 사업 점검]돈 못 버는 알뜰폰, 호수될까 악수로 남을까
- KB금융 "건전성 회복, 그룹 차원 최우선 과제로 설정"
- [thebell desk]9개월차 금융 출입 단상
- 은행 살아난 KB금융, 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 순이익
- 우리금융도 실적발표 앞두고 일반주주 질문 직접 받는다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2대주주 더존비즈온 역할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신한이 매출 4000억대 '중견기업' 선택한 이유는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신한금융, 자회사 13곳 이사회에 지주 임원 참여…가교 역할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인사' 책임지는 신한금융지주 COO의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