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쉬마크 M&A 협상 이끈 '김남선 네이버 CFO' SPC 대표자로 최수연 대표와 합병 계약서 서명
김형락 기자공개 2022-10-07 07:40:17
이 기사는 2022년 10월 05일 17:25 thebell 유료서비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남선 네이버 CFO(최고재무책임자)는 포쉬마크 M&A(인수·합병) 거래를 이끈 주역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와 M&A 협상 테이블에 앉아 계약을 마무리했다. 합병 계약서에도 김 CFO와 최 대표가 나란히 서명해 책임을 같이 진다.네이버가 미국 온라인 중고 패션 플랫폼 '포쉬마크'와 맺은 합병 계약서에 따르면 최 대표와 김 CFO가 모두 계약서에 서명했다. 김 CFO는 네이버가 합병 주체로 세운 미국 특수목적법인(Proton Parent 이하 Parent)과 그 자회사(Proton Merger Sub 이하 Merger Sub) 대표자(Co-President)로 이름을 올렸다. 포쉬마크에서는 마니쉬 샨드라 CEO(최고경영자)가 계약 주체로 나왔다.
김 CFO는 계약 당사자로 네이버가 포쉬마크를 인수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SPC 대표자 자격으로 최 대표와 협상 테이블에 나갔다. M&A에서 CEO 권한이 막강한 재계 다른 그룹과 다른 모습이다.

합병 계약서에는 김 CFO가 짠 포쉬마크 인수 구조가 드러난다. 네이버는 포쉬마크 인수 주체로 SPC를 내세웠다. 네이버가 100% 자회사인 SPC(Proton Parent) 유상증자에 참여해 포쉬마크 인수자금 2조3441억원을 출자하고, SPC가 포쉬마크 주주에게 자회사(Merger Sub)와 합병 대가를 지급하는 형태다.
지난 4일 네이버가 포쉬마크 인수 소식을 알린 뒤 진행한 컨퍼러스콜에서도 김 CFO 존재감이 돋보였다. 컨퍼런스콜에서 최 대표보다 더 많은 발언 기회를 얻었다. 최 대표는 서두에 포쉬마크 인수 이유와 인수 후 사업 전략을 밝히고, 거래 구조 설명부터는 김 CFO에게 마이크를 넘겼다.
김 CFO는 컨퍼런스콜에서 M&A 전반 내용을 설명했다. 인수 가격 적정성과 인수 시점 판단 근거부터 인수 구조와 인수 자금 마련 방안까지 제시했다. 인수 후 포쉬마크 수익성 분석과 전망도 내놨다.
질의응답도 최 대표와 김 CFO가 분담했다. 최 대표는 인수 배경, 사업 전략 관련 질문에 답했다. 포쉬마크 수익성, 네이버와 재무적 시너지 효과 등을 묻는 질문에는 김 CFO가 답변했다.
김 CFO가 재무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전략과 투자 분야에서도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조직 구성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는 M&A 담당 조직을 CFO 아래 두고 있다. 김 CFO 밑으로 G&T(Growth& True North)팀이 있다. 글로벌 기업과 M&A 파트너십 기회를 찾고, 실제로 실행하는 팀이다. 이밖에 IR, i2(투자개발), CV(Core&value, 경영관리), R&C(Risk&Compliance) 조직을 CFO 밑으로 두고 있다.
김 CFO는 네이버 M&A 전략 변화를 상징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네이버는 2020년 8월 김 CFO를 영입하면서 G&T를 신설했다. 김 CFO에게 투자와 M&A를 담당하는 책임리더를 맡겼다. 지난해 5월 캐나다 웹소설 플랫폼 서비스 기업 왓패드 인수도 김 CFO가 주도했다. G&T팀에서 콜드콜(거래 관계가 없는 상대에게 거는 전화)을 해서 양사 대표이사 만남을 주선했다. 이를 발판으로 지난해 11월 네이버 CFO로 내정됐다.
네이버 관계자는 "포쉬마크 인수는 새로운 리더십에서 상의하면서 진행했다"며 "M&A 방향은 대표이사가 잡더라도 인수구조 설계라든지 가격 책정 등은 CFO가 관여했을 것"이라며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달라진 주주 구성, 전문 경영인 체제는 굳건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배당·자사주 정책 기준점 다른 이유는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히스토리 쌓는 삼성, 비용 기준점 제시하는 애플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스탠더드로 통하는 이사진 구성…연임에선 차이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재무 전문가 육성하는 삼성, 영입하는 애플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레버리지 일으키는 애플, 자중하는 삼성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서로 다른 순현금 눈높이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공조 체제서 경쟁자로…달라진 지형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주력시장이 가른 이익 레벨
- [Peer Match Up/삼성전자 vs 애플]점유율 1위 지키는 삼성, 도전하는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