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자산운용 민간모펀드, PE부문 첫 GP '린드먼아시아' 최소 결성액 대부분 출자 확약, 높은 GP커밋 비중도 가점 요인
임효정 기자공개 2022-11-18 08:24:02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7일 14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자산운용이 주관하는 혁신성장뉴딜펀드의 출자사업에서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이하 린드먼아시아)가 첫 PE부문 운용사로 선정됐다. 출자사업에 도전장을 내면서 최소 결성액 상당부분을 이미 민간으로부터 출자 확약을 받았다는 점이 가점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은 이날 혁신성장뉴딜펀드 2차 출자사업의 최종 위탁운용사를 발표했다. 이번 출자사업으로 기업투자 부문에서는 VC 2곳, PE 1곳을, 인프라 부문은 소형 3곳, 중형 1곳을 선정했다.

한화자산운용의 경우 첫 모펀드 주관을 맡은 만큼 펀드 결성 가능성이 높은 하우스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는 게 중론이었다. 운용사 입장에서도 출자비중이 30%로 높지 않은 데다 결성 시한도 길지 않다는 점에서 부담이 높을 것이란 의견이 주를 이뤘다. 특히 최근 펀드레이징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부담은 가중된 상태였다.
린드먼아시아는 출자사업에 출사표를 내면서 시장의 불안 요인을 제거한 덕에 당당히 최종 위탁운용사에 선정됐다는 평가다. 최소 결성액에 대한 출자 확약을 이미 받아 놓은 점이 주효했다. 이로써 내년 1분기 내에 서류 절차까지 포함해 펀드레이징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GP커밋 비중이 높다는 점도 가점 요인으로 꼽힌다. 린드먼아시아는 통상 펀드를 결성할 때 GP출자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한다. 책임감 있게 투자하겠다는 하우스의 의지가 반영된 대목이다. 린드먼아시아의 GP커밋 비중은 10~20%다. 이번 펀드 역시 이 수준에서 자체 출자를 결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이번 출자사업에서 기업투자 부문에 선정된 VC는 IBK캐피탈-에스투엘파트너스, SV인베스트먼트 등 2곳이다. 인프라 부문에는 멀티에셋자산운용, 우리글로벌자산운용, KB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등 총 4곳이 선정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