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펀드분석]크릿벤처스, 콘텐츠 투자 핵심 ‘KIP 인터렉티브 펀드’결성액 800억 중 460억 이상 소진, 알로하팩토리·닫닫닫 등 투자
양용비 기자공개 2022-11-22 08:13:26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8일 14:2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설립 3년차를 맞이한 크릿벤처스가 빠르게 운용자산(AUM)을 불려가고 있다. 올해 11월 기준 AUM은 2240억원으로 4개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공동운용(Co-GP) 펀드가 포함된 수치이지만 빠른 성장세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4개 펀드 가운데 800억원 규모의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렉티브 콘텐츠 펀드’는 크릿벤처스 콘텐츠 투자의 핵심 재원으로 꼽힌다. 지난해 한국투자파트너스와 공동운용 형태로 결성한 해당 펀드는 국내외 콘텐츠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탄생했다.
작년 결성 당시부터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렉티브 콘텐츠 펀드는 주목받았다. 모태펀드 등 정책자금이 없는 순수 민간자본으로만 800억원을 모집했기 때문이다. 크릿벤처스의 모기업인 컴투스 뿐 아니라 국내 게임사인 111%도 종잣돈을 지원했다. 유비소프트, 수퍼셀, 넷이즈, 가레나 등도 주요 출자자(LP)에 이름을 올렸다.
작년 2월 결성 이후 올해 11월까지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렉티브 콘텐츠 펀드가 투자한 기업은 30곳이 넘는다. 이미 결성액 800억원 가운데 460억원 이상을 소진했다. 결성 1년 9개월 만에 재원의 57% 이상이 투자에 사용한 셈이다. 한국투자파트너스와 공동 운용하면서 글로벌 딜 소싱 시너지를 극대화한 덕분이었다.
해당 펀드는 크릿벤처스의 콘텐츠 투자의 핵심 재원 역할을 하고 있다. 크릿벤처스가 2년 동안 투자한 금액은 약 700억원이다. 이 가운데 320억원 이상이 게임·콘텐츠 분야에 유입됐다. 대부분이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렉티브 콘텐츠 펀드가 재원이었다.
△알로하팩토리 △먼데이오프 △스노우프린트스튜디오스AB △닫닫닫 △스튜디오스카이 △갤럭시코퍼레이션 △유이버설브라더스코리아 △빅픽처인터렉티브 △모아이게임즈 △게임테일즈 △콘텐츠랩블루 등이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렉티브 콘텐츠 펀드로 담은 대표적인 게임·콘텐츠 포트폴리오다.

이 가운데 알로하팩토리는 해당 펀드로 팔로우온(후속투자)까지 단행한 기대주다. 2019년 설립된 알로하팩토리는 하이퍼캐주얼 장르의 게임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하이퍼캐주얼 장르는 모바일 광고를 주 수익원으로 하는 가벼운 게임이다. 알로하팩토리는 현재 조작 방식이 단순하고 조작 시간이 짧은 블록퍼즐 게임과 드로우 해머 게임을 서비스 하고 있다.
작년 3월 첫 번째 투자에 나선 이후 개발하는 게임마다 뚜렷한 성과를 내면서 올해 7월 추가 자원을 투입했다. 알로하팩토리가 작년 8월 출시한 ‘키스 인 퍼블릭’은 누적 글로벌 5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미국 구글 플레이 아케이드게임 1위, 전체 게임 3위에 올랐다.
게임·콘텐츠 분야 이 외에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렉티브 콘텐츠 펀드가 주목하는 분야는 웹3.0이다. △나부스튜디오 △애니모카 브랜즈 △메타보라 △업라이즈 △라굿컴퍼니글로벌 등 웹3.0 기업이 포트폴리오로 편입됐다.
블록체인 게임사인 나부스튜디오의 경우 크릿벤처스의 투자 이후 프렌즈게임즈에 인수됐다. 작년 4월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랙티브 콘텐츠 펀드’로 약 12억원을 투자한 지 약 7개월 만이다.
크릿벤처스 관계자는 “투자 침체기 속에서도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스타트업의 런웨이를 연장하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며 “게임과 콘텐츠 뿐 아니라 커머스, 테크, 웹3.0과 블록체인 등 영역에서 우수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증권, 후순위채 증액 성공…1200억 자본 확충
- SK텔레콤, 신종자본증권 2배 수요 모았다
- '2차전지 뜨겁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성료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
양용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 분석]김재욱 열매컴퍼니 대표 "내년 하반기 상장 목표"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 분석]투자 활동 활발해진 열매컴퍼니, 신사업 '드라이브'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 분석]열매컴퍼니 외형 성장 비결, 미술품 조각 투자 '무패'
- [VC People & Movement]옐로씨매니지먼트 주우식 대표, 신생 VC도 진두지휘
- [세컨더리펀드 VC 열전]노련미 앞세운 메이플투자·IBK캐피탈, 연합전선 구축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면역항암' 에스씨바이오, 110억 시리즈A 유치 매듭
- [VC 투자기업]국내 최초 KC인증 통합 솔루션 '룩', 웹 출시 임박
- 'VC 1호 스팩 상장' 노리던 HB인베, 결국 직상장 선회
- [VC People & Movement]HB인베스트먼트, 황유선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
- VC 심사역이 출시한 '운전선생', 첫 외부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