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플레이, 주인 바뀌더니 부동산 투자 열중 인력확충, 자회사 합병 등으로 사무공간 확장 필요…판교 이전도 감안
원충희 기자공개 2022-12-12 14:36:48
이 기사는 2022년 12월 06일 14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위메이드플레이(옛 선데이토즈)가 스마일게이트홀딩스에서 위메이드로 대주주가 바뀐 후 부동산 투자규모가 부쩍 늘었다. 3분기까지 투자활동으로 지출한 현금 가운데 절반가량인 1700억원이 투자부동산 취득에 쏠렸다.특히 부동산투자신탁(REITs, 리츠) 투자가 눈에 띈다. 현재 사옥으로 쓰고 있는 서현 분당스퀘어로는 늘어난 인력을 감내하기 어려운데다 자회사 플레이링스 합병 등으로 사무공간이 부족해지면서 판교 쪽 토지·건물 매입에 상당액을 썼다.
◇작년에 한푼도 안 쓴 부동산에 올해는 1700억 투자
위메이드플레이가 3분기까지 투자활동으로 지출한 현금규모는 3373억원으로 전년 동기(1095억원)대비 3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투자자산 처분 및 회수를 통해 들어온 현금이 1417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투자활동현금흐름은 1955억원 순유출이다.
이는 게임 본업을 통해 창출된 현금 순유입 규모(영업활동현금흐름) 72억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올 1월 최대주주가 스마일게이트홀딩스에서 위메이드이노베이션으로 변경된 이후 투자규모가 대폭 늘었다.

주로 투자한 분야는 부동산이다. 투자부동산 취득에 쓴 현금이 1706억원으로 투자활동에 따른 현금유출액의 절반가량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때 투자부동산 취득 규모가 0원인 것과 비교하면 부동산 투자가 갑자기 증가했다.
투자부동산은 일반 유형자산과 달리 투자목적으로 또는 비영업용으로 소유하는 토지, 건물 및 기타의 부동산을 뜻한다. 통상 임대수익 목적, 채무담보 등로 유입된 부동산 등을 가리킨다.
위메이드플레이가 올해 취득한 투자부동산을 살펴보면 토지가 791억원, 건물이 915억원이다. 이 가운데 13억원 상각되면서 부동산 장부가는 1693억원으로 기재됐다. 투자부동산 관련 임대수익은 22억원, 비용은 19억원으로 손익은 3억원 정도다.
◇리츠에만 900억 투입, 오피스 공간 확보용
위메이드플레이는 대주주 변경 이후 인력이 확충된데 이어 소셜카지노 자회사 플레이링스와의 합병으로 사무공간 확장이 필요해졌다. 위메이드플레이 관계자는 "인력이 400명 수준으로 늘고 합병된 자회사 직원들도 들어오면서 사무공간 확보가 필요해졌다"며 "이사갈 것도 감안해 판교 쪽 건물을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위메이드플레이 산하로 신규로 편입된 리츠 자회사들이 많아진 것도 이 때문이다. 올해 3개의 리츠가 신규투자를 통해 종속 및 관계기업으로 들어왔다. 코람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42호에 216억원을 현금출자해 지분 94.74%를, 유나이티드파트너스국내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에 387억원을 들여 지분 98.72% 확보했다.
또 케이원제23호역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에 300억원을 출자, 지분 75.09%를 확보해 관계사로 편입했다. 올 한해 리츠에 투입한 금액만 900억원이다. 위메이드플레이 측은 지난 5월 케이원제23호에 출자할 당시 취득목적을 '오피스 공간 확보 및 전략적 투자'로 기재했다.
위메이드플레이 관계자 "건물을 통째로 사기에는 금전적 부담이 커서 리츠 형태로 들어갔다"며 "현재 사옥으로 쓰는 서현 분당스퀘어도 리츠 형태로 전세내서 쓰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