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러스트-클레이튼 조직 대이동…규제천장 뚫는다 크러스트 주요 인력 클레이튼 재단으로 이동…블록체인 사업 속도 개선 목적
노윤주 기자공개 2023-02-15 13:51:19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4일 07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 블록체인 계열사인 크러스트와 클레이튼 재단 사이 조직 변동이 발생한다. 크러스트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하던 주요 인원이 클레이튼 재단으로 소속을 변경한다.크러스트 측은 독립 법인이자 해외에 거점을 둔 클레이튼을 통해 블록체인 사업 확장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하반기 가상자산 클레이(KLAY) 가격 하락으로 인해 두통을 앓았던 클레이튼 생태계가 빠른 속도로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카카오 산하 블록체인 조직 한 번 더 변화…'크러스트→클레이튼 재단' 인력 이동
14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크러스트에서 근무하던 주요 인력들이 클레이튼 재단으로 적을 옮긴다. 이에 따라 크러스트는 자연스럽게 조직 축소를 진행한다.
크러스트는 카카오의 종속 자회사로 블록체인 '클레이튼'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싱가포르에 법인을 두고 있으며 지난 2018년 설립된 동명의 법인 '클레이튼(Klatn Pte. Ltd)'이 전신이다. 2021년 국내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클레이튼 개발 사업을 크러스트로 모두 이관하면서 구체적인 사업 윤곽을 드러냈다.
2021년 말 이후 블록체인 기술 및 기반 서비스 개발은 크러스트가, 코인 발행과 관련한 사안은 클레이튼 재단이 관리하는 체제로 변했다. 현재 그라운드X는 전자지갑 클립 및 대체불가토큰(NFT) 사업에만 집중하고 있다.
크러스트와 클레이튼 재단의 가장 큰 차이점은 카카오 계열사 여부다. 크러스트는 카카오가 지분 대다수를 갖고 있는 반면 클레이튼 재단은 독립법인이다. 재단 측에서도 카카오가 빠진 탈중앙화 체제로 운영되는 법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규제로 막혔던 사업, 독립법인 클레이튼 재단으로 뚫는다
이번 조직 이동의 가장 큰 이유는 규제 때문이다. 크러스트는 모회사인 카카오가 있어 적극적으로 블록체인 사업을 펼치기 어려운 구조다. 해외 법인이지만 국내 가상자산 규제 문제를 모두 팔로업 하고 있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블록체인은 글로벌 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빠른 의사 결정으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며 "크러스트의 경우 모회사를 거쳐야 해 의사결정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모기업에 타격을 주면 안 되기 때문에 국내 규제를 최대한 준수해야 해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르는 일부 탈중앙화 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간 클레이 유통 및 클레이 활용 투자에 집중했던 크러스트 재단의 역할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국내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는 이점을 살려 탈중앙화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조직 이동으로 크러스트는 사업을 일시 중단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다. 지난달 크러스트로 출근하는 인력이 급감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크러스트 측은 "전혀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크러스트 관계자는 "재택근무가 주가 되는 새로운 형태의 근무방식을 점진적 도입 중"이라며 "이로 인해 오해가 발생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크러스트는 사업을 이어간다"며 "규제 틀 안에서 할 수 있는 사업을 펼쳐보자는 기조"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방향 다른 SKB, 오리지널 대신 '편의성'에 투자
- [Policy Radar]원화 코인거래소, 현장검사 마무리 수순…수리는 '험로'
- SK스퀘어, 'TGC 활용' 해외 반도체·AI 기업 투자
- KT, 멀티클라우드 MSP 사업 본격화 '수익 개선 도전'
-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상호 제휴 5년만에 결정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홍범식호 '1호 분사' 대상 스튜디오X+U, 확장 전략 포석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다작' 내세우던 스튜디오X+U, 구조 변화 '예고'
- 네이버, 크림 엑시트 전략 고민…매각 vs JV '저울질'
- 네이버, 포시마크 인수 2년…북미 사업 확장 '한 번 더'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KT, 콘텐츠 ROI 따진다…미디어 손익 개선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