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헤지펀드]블래쉬운용, 증권사 판매 채널서 잇딴 '러브콜'NH증권 첫 포문…미래에셋·삼성증권 등도 검토
양정우 기자공개 2023-03-16 08:23:46
이 기사는 2023년 03월 13일 15:5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의 '슈퍼루키'인 블래쉬자산운용이 증권가 리테일 창구에서 잇따라 러브콜을 받고 있다. 헤지펀드 판매가 수월하지 않은 여건이지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등 메이저 증권사를 중심으로 상품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3일 자산관리(WM)업계에 따르면 블래쉬운용은 최근 NH투자증권에서 단독으로 판매하는 신규 펀드(블래쉬 멀티딸기 일반사모투자신탁)를 조성했다. NH증권에서는 프리미엄블루 등 고액자산가 전용 점포를 중심으로 세일즈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블래쉬운용은 본래 백지윤 대표와 백 대표 지인의 개인 자금, 하우스 고유계정을 토대로 펀드를 조성해 왔다. 그러다가 지난해 말 설립 이후 처음으로 리테일 창구(유진투자증권, DB금융투자)에서 펀드레이징을 전담하는 방식으로 펀드(블래쉬 멀티전략 일반사모투자신탁 제3호)를 결성했었다. 본격적으로 사세 확장에 나서고자 고객층을 넓히는 방향으로 판매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블래쉬 멀티전략 제3호로 증권사 판매 채널의 물꼬를 트자 증권사의 문의가 쇄도하기 시작했다. 대형 증권사마다 물밑에서 신규 상품을 논의했고 NH증권이 가장 발빠르게 판매까지 돌입했다. 대형사는 막강한 리테일망을 보유하고 있기에 판매사로서 세일즈 역량이 중소형사를 앞설 수밖에 없다.
여기에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도 블래쉬운용의 신규 펀드를 판매하는 데 힘을 싣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이미 가판대에 상품을 내건 후 핵심 고객을 중심으로 세일즈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삼성증권 역시 판매 본격화를 검토하고 있으며 KB증권 등도 심사숙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증권사에서 러브콜이 쏟아지는 건 블래쉬운용이 헤지펀드 시장의 슈퍼루키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멀티스트래티지 전략을 가진 하우스 중에서 단연 두각을 드러낸 운용사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수익률 상위 10개(멀티 전략 기준) 펀드 가운데 4개가 블래쉬운용의 상품이었다. '블래쉬 런앤건RED'은 16.5%의 수익률로 1위에 오르기도 했다.
2021년의 경우 사실상 블래쉬운용의 독무대였다. 운용 펀드 4개가 멀티 전략은 물론 국내 모든 펀드를 통틀어 수익률 '톱10'에 모조리 진입하는 성과를 냈다. '블래쉬 하이브리드' 펀드의 경우 전체 수익률 1위(247.8%)를 달성했다. '블래쉬 코스닥벤처 펀드 제1~2호'도 수익률이 각각 102.6%(8위), 158.8%(4위)에 달했다. '블래쉬 멀티전략 펀드 제1호' 역시 130.2%(5위)를 기록했다.

헤지펀드업계에서는 이런 꾸준한 성과의 비결로 핵심 운용역 3인의 조화를 꼽고 있다. 백 대표와 정상윤 대표, 김진수 이사는 각기 다른 투자 전략과 강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매크로 환경의 부침과 산업, 기업의 성장 주기에 따라 매분기 각 매니저의 기여도가 뒤바뀌지만 전체 성과를 놓고 보면 절묘한 균형을 이뤄내고 있다.
블래쉬운용의 운용 펀드 대부분은 주축 전략이 동일하다. 롱숏(Long/Short) 포지션을 펀드의 골조로 삼은 뒤 공모주 등 또 다른 알파를 창출할 자산을 가미하고 있다. 코스닥벤처펀드처럼 비히클 자체가 다를 경우에도 하우스의 핵심 전략을 그대로 반영하면서 일부 자산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앞으로 슈퍼루키를 넘어 메이저 운용사로 거듭나려면 현재 자금줄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라 증권사 채널을 활용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운용자산(AUM)이 조 단위를 넘어선 하우스로 성장하고자 초고액자산가 고객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펀드레이징 루트를 다양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로펌 부동산팀을 움직이는 사람들]부동산금융 사회 첫발, 기업위기대응 최일선 '수장'
- [건설사 SMR 경쟁력 점검]다년간 원전 노하우 쌓인 현대건설, 상용화 '속도전'
- [HUG는 지금]또 꼬인 기관장 인선, 갈 길 먼 주거안정 미션
- 미국사업 첫발 반도건설, 연 340억 임대매출 기대
- 일레븐건설, 유엔사부지 오피스텔 '6월 분양' 목표
- 우리자산신탁, 임종룡호 승선 첫 대표에 이종근 전무
- 새 본부장 영입한 케이리츠, 상장 절차 '날개'
- [건설부동산 줌人]'건축사업 드라이브' 동부건설, 새 대표에 윤진오 사장
- 초록뱀미디어, 케이스타서 '마을을 걷다' 시즌4 방영
- 코미팜, 비마약성진통제 엘살바도르 임상 최종 승인
양정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공모주 우선배정 혜택 압도적…타 펀드로 대체 불가
-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헤지펀드 설정액 10%, 조단위 썰물 우려 점증
- [인사이드 헤지펀드]시몬느 계열 SP운용, 메자닌 블라인드 펀딩 '시동'
- 한투밸류운용, '사모 메자닌' 펀드 설정 나선다
- 헤지펀드에 문 연 모태펀드…세컨더리 도전할까
- [인사이드 헤지펀드]블래쉬운용, 증권사 판매 채널서 잇딴 '러브콜'
- [자산운용사 경영분석]하나UBS, 수익구조 리빌딩에 약세장서 '선전'
- KB증권, '맏형 타임폴리오' 펀드 첫 PBS 따냈다
- [자산운용사 경영분석]멀티에셋운용, 권순학-최승재 투톱 작년 성과 빛났다
- 황성환-김홍기 의기투합…타임폴리오 새 롱숏 출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