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경영분석]TS인베스트, 혹한기 뚫고 외형확대 일등공신 '티젠'지난해 매각으로 성과보수 대거 유입, 지분법이익 감소 '상쇄'
양용비 기자공개 2023-03-22 08:17:23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0일 15:4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TS인베스트먼트가 지난해 벤처캐피탈업계를 휩쓴 혹한기를 이겨내고 외형확대에 성공했다. 사모펀드에 매각되며 대규모 성과보수를 안긴 기능성 차(茶) 브랜드 기업 티젠이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티젠 회수로 인해 성과보수가 대거 유입되면서 TS인베스트먼트의 매출(영업수익) 성장을 견인했다. 2022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TS인베스트먼트의 지난해 매출은 272억원으로 전년 223억원 보다 약 49억원 불어났다. 지난해 증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거둔 상향된 성적표라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TS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20일 “지난해 티젠 매각으로 인해 들어온 성과보수의 영향으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벤처캐피탈 매출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 펀드를 운용하는 대가로 수취하는 관리보수와 수익률에 따른 성과보수, 펀드의 당기순손익 중 투자 지분율에 따라 회계상으로 손익을 인식하는 지분법손익 등이다.
안정적인 수익으로 꼽히는 조합 관리보수는 109억원으로 전년 90억원 대비 19억원 불어났다. 다만 같은 기간 지분법이익은 102억원에서 83억원으로 축소됐다. 증시 악화의 영향을 받아 지분법이익이 줄었지만 성과보수와 관리보수가 증가하면서 이를 상쇄했다.
지난해 TS인베스트먼트는 역대 최대 수준의 회수 성과를 기록했다. 회수한 금액은 1570억원에 달한다. 이는 VC와 PE 회수 성과를 합산한 수치다. TS인베스트먼트가 기록한 1580억원의 회수 성과는 2008년 설립 이후 최대치다.
지난해 TS인베스트먼트가 벌어들인 성과보수는 30억원이다. 전년 성과보수가 2700만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0배 넘게 불어났다. 성과보수 대거 유입시킨 주역은 티젠이었다.

티젠은 아모레퍼시픽에서 차 전문 브랜드 오설록 개발을 총괄했던 김종대 대표가 2000년 3월 창업했다. 녹차, 홍차 등의 전통적인 차 제품에서 시작해 다양한 건강 음료 제품들로 사업 영역을 넓혀갔다. 전라남도 해남에서 직접 운영 중인 20만㎡ 규모의 유기농 다원 등을 통해 최고 품질의 원재료를 확보했다. 경기도 용인의 제조 공장에서 완제품을 만들고 있다.
TS인베스트먼트가 티젠 투자에 나선 시기는 2018년이다. 재원은 '아이비케이 티에스 엑시트 사모투자합자회사'를 활용했다. 투자 당시 티젠의 밸류에이션은 300억원 수준이었다. 커피에 집중된 국내 차 시장에서 티젠이 색다른 성장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 투자를 단행했다.
혜안은 서서히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티젠은 보이차, 녹차, 홍차, 허브차 등 전통차 제품뿐 아니라 유기농 새싹보리차, 자몽쏙, 에너지티, 굿나잇티 등 다양한 건강 기능성 음료로 라인업을 확대했다.
적절한 스타 마케팅도 티젠의 시장 장악에 날개를 달아줬다. BTS의 정국, 배우 김태리 등이 콤부차를 홍보하면서 티젠의 매출이 급성장했다. 2021년 매출은 407억원으로 전년 205억원 대비 약 2배 불어났다.
가파른 성장를 이어가던 티젠은 지난해 VIG파트너스를 새주인을 맞이했다. TS인베스트먼트는 아이비케이 티에스 엑시트 사모투자합자회사가 보유한 티젠의 지분 70%를 매각하면서 엑시트에 성공했다.
투자 당시 300억원이었던 티젠의 기업가치는 엑시트 당시 약 1000억원으로 불어났다. 해당 펀드로 회수한 규모는 약 661억원이다. ROI(투자자본수익률)은 251%, 내부수익률(IRR)은 46%에 달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최대 3000억 공모채 추진
- LS전선, 최대 1800억 공모채 추진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양용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C 투자기업]인피닉, '새 엔진 방산' 핵심 AI 기술 4가지로 '승부수'
- 국방 신산업 이끄는 인피닉, '방산혁신기업100' 선정
- [thebell note]'독이 든 성배' 해외 LP
- HB인베스트, 'AI 환자 예측' 에이아이트릭스에 베팅
- 이크럭스·넥스트지, '농식품 세컨더리' 운용 본격화
- [Founder Profile/라우드코퍼레이션]프로게이머 출신 서경종, e스포츠 산업 '퍼스트무버'로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K-가구 플랫폼' 아이앰히어,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 [thebell interview]라우드코퍼레이션 "e스포츠 기업 1호 상장사 될 것"
- [thebell interview/VC 투자기업]마로로봇테크 "티퍼시스템·팔레트 이송 로봇 론칭"
- HB인베스트먼트, 상장 예심 청구…직상장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