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모니터]의료진 이커머스 '1호' 블루엠텍, 피어그룹 왜 바꿨나금감원 권고에 '2곳' 추가…PSR 소폭 상승하자, 보수적 할인율 적용
윤진현 기자공개 2023-11-09 18:53:57
이 기사는 2023년 11월 07일 10시3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의료진의 이커머스 플랫폼 1호 상장에 도전한 블루엠텍이 증권신고서를 고쳐냈다. 금융당국의 보강 요청에 두 차례의 자진 정정 과정을 거쳤다. 금융감독원이 투자위험요소 등 세부 내용 부연과 피어그룹 규모를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블루엠텍은 피어그룹 규모를 기존 2곳에서 4곳으로 늘렸다. 사업 유사성을 기준으로 HLB테라퓨틱스와 유비케어를 추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주가매출비율(PSR) 배수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상반된 수치를 기록 중인 기업을 선정했다.
그럼에도 적용 PSR이 약 0.2배 상승하면서 주당 평가가액도 약 3000원 증가했다. 대신 할인율 상단과 하단을 크게 넓혀 희망 공모가 밴드를 동일하게 유지했다. 블루엠텍 측은 테슬라상장을 택한 만큼 보수적 밸류에이션을 위한 선택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수요예측 일정 연기, 22~28일…피어그룹 정정
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블루엠텍이 두 차례의 자진 정정을 거치며 공모 일정을 미뤘다. 당초 10월 31일부터 5영업일간 수요예측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이 일정을 11월 22일로 연기했다. 즉 이달 22일부터 28일까지 기관투자자들의 주문을 받을 계획이다.
이번 정정 과정은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측에선 피어그룹과 투자위험요소 등을 부연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블루엠텍과 주관사단인 하나증권, 키움증권과 협의 끝에 정정 신고를 마쳤다.
특히 피어그룹의 경우 당초 더블유에스아이와 비트컴퓨터를 선정해 밸류에이션을 마쳤으나 정정 과정에서 2곳을 추가했다. 비교기업이 다소 적다는 지적을 받은 탓이다. 이에 블루엠텍은 HLB테라퓨틱스와 유비케어를 부연했다. 이들 기업은 모두 국내 의료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기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HLB테라퓨틱스는 콜드체인, 전자, 의료기기, 바이오사업부문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특히 국내외 약품회사 및 병원, 보건소 등과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독감, 대상포진 등의 백신 판매 비중이 높다. 블루엠텍의 사업모델인 의약품 유통업과 비슷한 사업군이라고 볼 수 있다.
이어 유비케어는 의료정보플랫폼 기업이다. 유통, 제약데이터, 제조사업 등을 영위하는 만큼 병의원을 대상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금감원의 권고대로 의약품 유통업과 플랫폼업을 고루 추가한 셈이다.

블루엠텍 측은 피어그룹을 확대하면서 밸류에이션 고민이 더욱 깊어졌다는 입장이다. 비교적 사업 유사성이 큰 HLB테라퓨틱스의 PSR지수가 높은 편이었던 탓이다. 이에 유비케어도 피어그룹으로 추가하면서 일정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유지하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HLB테라퓨틱스의 PSR지수는 4.44배로 피어그룹군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유비케어가 1.71배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음에도 적용 PSR배수는 기존 2.59배에서 2.73배로 소폭 상승했다.

대신 블루엠텍과 주관사단은 할인율 폭을 크게 높여 공모가밴드는 그대로 유지했다. 앞서 제시한 할인율은 -27.71%~+8.43%였으나, 정정 후 -36.81%~19.96%로 확정했다. 이렇게 추산한 주당 희망 공모가액은 1만5000~1만9000원이다.
블루엠텍 관계자는 "이익미실현 기업으로써 테슬라 상장을 택한 만큼 보수적 밸류에이션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HLB테라퓨틱스 뿐 아니라 유비케어도 함께 부연했던 것"이라며 "결과적으로는 PSR지수가 소폭 상승했으나 할인율을 함께 높여 밴드 가격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블루엠텍과 주관사단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기업 설명회(IR)에서도 강조할 것이라 밝혔다.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2영업일 전인 11월 20일부터 28일까지 기업 IR 일정을 시작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 [i-point]크라우드웍스, '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 GS칼텍스·현대백 회사채 최저금리…'크레딧 안정성' 부각
- [i-point]큐브엔터, 소속 걸그룹 '아이들' 컴백 확정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상장 관건 밴드내 수요 집결…'하방압력' 이겨낼까
- [IB 풍향계]대형스팩 허들 넘은 삼성증권, IPO 확장 '드라이브'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Korean Paper]외평채 주관사단 5곳 확정…'토종IB' KB증권 기용
- [Korean Paper]막오른 외평채 PT 경쟁…국내외 IB 초청장 수령
- [무신사 IPO]FI 요구 밸류 4조부터…미룰수록 눈높이 '고공행진'
- [Korean Paper]"은행채 잡자" 국민은행 외화채에 100억달러 운집
- [Korean Paper]철강 디스카운트 없었다…포스코홀딩스 달러채 흥행
- [기술평가 모델 점검]기관별 역량 격차 우려…거래소 '사전협의' 넓힌다
- [New Issuer]한국물 데뷔 도전 포스코홀딩스, '장기물' 베팅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