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1억 잭팟' 종근당, 업계 매출 1위 자리 넘본다 CKD-510 L/O 빅딜, 계약금 수취로 매출 확대 예고…매출 인식 시점 및 방식 '관건'
한태희 기자공개 2023-11-15 13:33:15
이 기사는 2023년 11월 14일 15시1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종근당이 최근 1000억원대 업프론트(계약금) 잭팟을 터뜨린 가운데 실적에 미칠 영향도 관심사다. 워낙 계약금 규모가 크다 보니 매출에 일괄 반영된다면 업계 1위인 유한양행의 입지까지 넘볼 수 있게 된다.다만 계약금의 매출 인식 시점이 언제일지가 관건이다. 또 계약금을 분할 인식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관심사로 꼽힌다.
◇ 종근당, L/O 업프론트 1061억원 잭팟···반환 의무 없는 매출 확보
종근당이 최근 노바티스와 합성신약 CKD-510의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하면서 받은 계약금은 8000만달러, 우리 돈 1061억원이다. 총금액 13억500만달러(1조7302억원)의 6% 비중이다. 아직 계약금을 수령하진 못한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계약금 수령일자 역시 특정하진 못하고 있다. 다만 보통 한 달 내로 입금되는 통상의 계약을 감안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께로 예상된다.
종근당이 수취할 계약금은 역대 국내 기술수출 사례 중 네 번째로 큰 금액이다. 최고액은 2015년 한미약품이 사노피에 에페글레나타이드를 기술이전하며 발생한 계약금 4억유로다. 단 한미약품의 기술은 2020년 9월 반환됐다.
업계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종근당이 계약금을 언제 재무제표에 반영할지에 쏠린다. 큰 규모인 만큼 재무회계 처리 시점에 따라 단숨에 업계 실적 순위가 뒤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 상장 제약회사 중 별도 기준 매출액으로는 유한양행이 1조7264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종근당이 1조4723억원, GC녹십자가 1조245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대웅제약과 한미약품은 각각 1조1613억원, 9820억원으로 4위, 5위 입지였다.
종근당은 올해도 선전하고 있다. 반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7520억원과 735억원으로 역대 상반기 중 최대 실적을 냈다. 올해 말이나 내년 초 확보할 기술이전 계약금이 당해 실적에 모두 반영된다면 업계 매출 선두인 유한양행과의 격차가 600억원 안팎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당초 2500억원 안팎의 괴리에서 단 몇백억원으로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된 셈이다. 충분히 업계 1위 입지를 탈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계약 조항 따른 수익 인식 시점 주목···ABL바이오는 3년간 나눠 인식
다만 계약금을 수취했다고 해서 곧바로 재무제표에 반영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회계기준 상 계약에 관한 수익과 비용은 계약상 의무 이행 정도에 따른다.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이라도 연구나 개발, 생산 등 계약상 최소 의무가 남아있으면 즉각적 매출로 잡을 수 없다.
종근당이 노바티스와 맺은 계약 세부 조항을 확인해야 언제 어떻게 매출에 인식할 수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계약상 이행 의무가 남아있다고 판단되면 일정 기간 수익을 나눠 인식해야 한다. 2022년 1월 사노피에 기술을 이전한 ABL바이오는 수취한 계약금 910억원을 3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다.
종근당이 만일 계약금을 3년에 나눠 인식하게 되면 분기마다 단순 계산으로 88억원의 매출이 추가로 반영되게 된다. 연간 354억원의 매출이 추가되는 셈이다. 이는 지난해 종근당 매출의 2.4% 비중으로 적잖은 수준이다.
종근당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이러한 계약은 한 달 이내 계약금이 들어온다"며 "아직 들어오진 않았지만 계약금을 수취하는 대로 회계 기준에 따라 실적에 반영할 계획"이라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갑작스레 바뀐 최대주주, 지분 이은 경영권 변화 예고
- [thebell interview]윤석근 일성아이에스 회장 "3인 대표, 미래 CEO 포석"
- [인투셀 IPO]플랫폼의 한계 '자체신약'으로 상쇄…밸류 핵심 '연내 IND'
- '오너의 귀환' 마크로젠, 해외 겨냥…한몸 된 '소마젠' 활용
- HK이노엔의 케이캡, 1조 매출 키 美 진출 '3상 유효성 입증'
- 동성제약 최대주주 브랜드리팩터링, '셀레스트라' 연계성
- '엑스레이 그리드' JPI헬스케어, 예심 청구 'IPO 시동'
- [2025 제약·바이오 포럼]K-바이오 생존전략 1시간의 토론, 한정된 자원 활용법은
- [바이오텍 유증·메자닌 승부수]JW중외제약 프로젠 SI 합류, 특약에 명시된 '우선협상권'
- '휴젤 알짜 자회사' 아크로스, 1년만에 공개매수 재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