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승부수]한샘, 수익성 속 숨은 키워드 '원가율 개선'안정적 영업 흑자 구조 강조, 공급망 효율화 통한 비용 절감 전망
김혜중 기자공개 2024-01-09 07:22:51
이 기사는 2024년 01월 04일 14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유진 한샘 대표집행임원이 신년사를 발표하며 수익성 제고를 최우선 과제로 선정했다. 특히 원가율 개선을 흑자 구조 구축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공급망 효율화를 통한 비용 절감에 더욱 힘을 쓸 것으로 관측된다.이어 원가율을 개선하고 핵심 상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안정적인 영업 흑자 구조를 형성할 것을 경영 목표로 제시했다.
한샘은 2022년 영업손실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에도 적자를 이어갔다. 2023년 2분기와 3분기 영업이익으로 각각 12억원과 49억원을 기록했으나 1분기 157억원의 손실을 기록한 탓에 연간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김 대표는 2023년 8월 취임사에서도 운영효율 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당시 수익성 제고를 위한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배제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러한 상황 속 외형을 확장하거나 급여 등이 주를 이루는 판매관리비를 조정하기보다는 원가율 개선을 중심으로 수익성 제고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 3분기 기준 한샘의 매출원가율은 76.9%로 원자재가격이 급등했던 2022년 83%에 비해 감소했다. 그러나 7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2021년 매출원가율은 74.3%다. 수익성이 일부 회복되긴 했으나 추가 개선의 필요성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복 상권 등에 대한 매장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등 수익성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샘 측은 물류나 구매 과정, 원자재 관리 등 공급망 효율화를 통해 비용 개선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장선상에서 지난해 9월 SCM본부장을 신규 선임하기도 했다. 삼성물산과 필립스코리아, 쿠팡을 거치며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전문성을 쌓아 온 외부인재 신수민 상무를 영입했다. 한샘 측은 공급망을 효율화할 수 있는 전문가를 통해 수익성 제고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이번 신년사에서는 홈퍼니싱과 리하우싱 분야의 혁신 방안도 함께 공개됐다. 홈퍼니싱의 경우 온라인 플랫폼 ‘한샘몰’과 오프라인 매장의 시너지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온·오프라인 융합된 구매형태를 보이는 고객들에 맞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제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리하우싱 분야에서도 시장에서 부엌, 수납 등 인기가 높은 상품의 시장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프리미엄 라인업을 출시하겠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가격, 시공 품질 등 기초 경쟁력을 개선해 수익성을 제고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대표는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에 개의치 않고 합심해 한샘의 저력을 보여주고 그 과정에서 임직원들도 함께 성장하는 한 해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영업권 모니터링]'영업권 141억' 한세모빌리티, 도약 필요성도 '확대'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락앤락, '수익성 악화'에도 양호한 재무건전성
- 롯데칠성음료, '새로' 고객 접점 확대에 방점
- [영업권 모니터링]'바닥 다진' 코리아세븐, '손상차손' 인식도 끝
- [비상장사 재무분석]교원, 적자 폭 축소에 현금 곳간도 '여유'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신재우 상무, '급속 성장' 견인한 뷰티 디바이스 혁신가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신재하 부사장, 주가 책임지는 에이피알 '얼굴'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병훈 대표, 젊은 감각으로 '변화의 흐름' 재편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투썸플레이스, '투자·상환' 일단락에 회수 여력 '확대'
- '9부 능선' 티빙-웨이브 합병, K콘텐츠 산업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