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강성묵·이승열' 사내이사 추천…책임경영 강화 은행장·증권 CEO 자격으로 지주 이사회 참여…불확실한 금융 환경 감안
최필우 기자공개 2024-03-05 14:10:23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9일 17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금융이 강성묵 하나금융 부회장 겸 하나증권 대표와 이승열 하나은행장을 지주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회장 외 다른 임원이 지주 이사회에 사내이사로 참여하는 건 최근 금융권에서 흔치 않은 일이다. 하나금융은 불확실한 금융 환경 속에 책임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다.29일 하나금융은 강 부회장과 이 행장을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다음달 22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안건이 통과되면 이들은 계열사 CEO와 지주 사내이사를 겸직하게 된다.

이사회 구성 변화 조짐은 지난 22일 이 행장이 지주 비상임이사에서 사퇴하면서 감지됐다. 은행금융지주 대부분 현직 은행장을 지주 비상임이사 또는 기타비상무이사를 겸직하도록 하고 있는데 임기를 남겨두고 돌연 사퇴한 것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이 행장의 그룹 내 입지가 축소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하나금융은 비상임이사를 없애고 사내이사 숫자를 늘리는 쪽을 택했다. 주요 계열사 대표를 이사회에 참여시키면 책임 경영을 강화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 이사회가 내리는 주요 표결에 은행과 증권 CEO를 참여시켜 단일화된 의사결정 창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하나금융은 금융 환경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사내이사 추가 선임 요인으로 꼽았다. 하나은행은 2년 연속 시중은행 순이익 1위를 차지하는 등 선전하고 있다. 다만 금리 변화, 미국 대선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어 이에 기민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하나증권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해외 부동산 투자 건을 면밀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 행장에게는 지주에 추가적인 역할이 부여될 것으로 관측된다. 사내이사는 지주에서 직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강 부회장은 지주에서 그룹손님가치부문장을 맡고 있으나 이 행장은 지주 내에서 직책이 없다. 부문장 직책을 맡고 직위는 부회장 호칭이 부여될 가능성이 높다.
또 하나금융은 사외이사 숫자를 기존 8명에서 9명으로 1명 늘리기로 했다. 사내이사 숫자가 늘어나면서 사외이사 영향력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책임경영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외이사 독립성도 보장한다는 취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문화재단 톺아보기]한화, 퐁피두센터에 170억 로열티 지급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SKB, IPTV 초개인화 총력…TV 켤 이유 만든다
- [i-point]모아데이타, 맞춤형 AI 정신건강 서비스 '마음' 출시
- [i-point]인텔리안테크, HD현대와 무선통신기술 '맞손'
- [AACR 2025]제이인츠 임상의가 본 JIN-A02 기술이전 전략 "타깃 구체화"
- [i-point]메타약품,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우리은행, '위기기업 대응 조직' 신설 자본비율 관리 고삐
- iM금융, 성공적 RWA 관리 'CET1 12%' 고지 올랐다
- [컨콜 Q&A 리뷰]신한금융,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율 제고 '자신감'
- 신한은행, 자금세탁방지부 '본부 격상·경영진 배치' 배경은
- 삼양사의 JB금융 지분 매각이 남긴 것
- [컨콜 Q&A 리뷰]우리금융, 올해 안정적 자본비율 관리 '최우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