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캐피탈은 지금]동남아 소액대출 진출 역점…현지 경기침체 여파 성장 ‘주춤’⑤현지화 전략 시장 조기 안착…캄보디아 법인 적자 지속
김경찬 기자공개 2024-07-25 12:56:14
[편집자주]
지방금융지주 경쟁 구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전국구 금융그룹을 노리는 DGB금융그룹의 광폭 행보는 '1등 지방금융지주' BNK금융그룹에게도 위기감을 안겨주고 있다. iM뱅크를 필두로 DGB금융의 비은행 계열사들도 전방위적 영업 확대를 예고하고 있다. 비은행 부문의 경쟁도 불가피해졌다. BNK금융의 대표 비은행 계열사 'BNK캐피탈'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BNK캐피탈의 현 상황을 조명해 BNK금융그룹 비은행 부문의 경쟁력을 가늠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7월 23일 07시1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캐피탈은 동남아시아 시장의 소액대출업(MFI)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지 고객을 주요 타깃으로 삼아 특화 금융상품을 제공하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기반해 설립 이후 흑자 전환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다.다만 코로나19와 글로벌 경기침체 등으로 현지 경영환경이 악화하면서 법인들의 성장세가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BNK캐피탈은 내실 성장에 집중하며 재도약 기반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낮은 부실 위험에 전략적 진출, 특화 상품 확대 수익 다각화
BNK캐피탈은 6개 국가에 진출해 총 7개의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모두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손꼽힌다. BNK캐피탈은 글로벌 사업 초기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진출했으며 최근 중앙아시아로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첫 글로벌 진출국은 캄보디아로 2014년 3월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같은달 미얀마 현지법인을 세웠으며 2015년에는 라오스에 진출했다. 이 세 국가 모두 불교 국가로 연대보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BNK캐피탈은 현지인 대부분 소액대출을 이용하면서도 부실 위험이 크지 않다는 점을 주목했다. 충분한 시장조사도 거쳐 현지인 니즈에 맞는 특화 상품을 제공하며 현지화 전략을 택했다
가장 먼저 영업을 개시한 미얀마 법인은 농업인을 중심으로 생계형 소액대출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미얀마는 농업이 주력 산업으로 농업인 인구가 전체 70%에 달한다. 이를 타깃으로 삼아 미얀마 법인은 마을 집단 대출, 농어업 자금 대출, 개인사업자 대출 등 현지 서민을 대상으로 생활 밀착형 상품을 운용하고 있다.
라오스에서는 두 개의 현지법인을 두고 리스업과 소액금융업(MFI)을 영위하고 있다. 리스법인은 소비재 판매점과의 물건 거래에 기반한 금융리스를 취급하며 자동차, 건설장비, 오토바이, 가전 등으로 취급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소액금융업(MFI) 법인은 E8(계절근로), E9(비전문취업) 비자론 상품 등을 위주로 운용하고 있다.
각 법인들은 수익성 제고를 위한 현지 금융상품 다각화를 단행하고 있다. 미얀마 법인은 도시 중심의 개인사업자 대출과 제휴 상품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라오스 소액금융업 법인은 대형시장론, 군인론 등 일반상품도 함께 취급하며 수익 다각화에 나설 계획이다.

◇미얀마 법인, 흑자 전환 이후 이익 성장세 지속
BNK캐피탈은 글로벌 현지법인들의 건전성관리에도 집중하며 내실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동남아시아 현지법인들이 실적 부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BNK캐피탈은 동남아시아 현지법인에 대한 자금을 수혈하며 경영 안정화를 지원하고 있다.
1분기 기준 BNK캐피탈 글로벌 법인의 단순 합산 총순손실 규모는 1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캄보디아 법인이 적자를 기록하면서 글로벌 사업 전반적으로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캄보디아 법인은 지난해 75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했으며 올해 1분기에는 순손실 24억원을 나타냈다.
미얀마 법인은 불안정한 대내외 경영환경 속에서도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현재 미얀마는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내전이 장기화하며 서방국가들의 경제제재까지 더해진 상황이다. 미얀마 법인은 비효율 점포를 정리하는 등 비용 절감에 나서며 흑자 전환을 이뤘다. 지난해 순이익 10억원을 기록했으며 1분기에는 11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하며 이익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라오스 두 법인의 경우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리스법인은 2020년부터 매년 10억원 이상의 순이익을 시현하고 있다. 1분기에는 3억원을 기록했다. 소액금융업 법인은 설립 1년 만에 흑자를 기록한 이후 줄곧 순이익을 나타내고 있다. 1분기에는 순이익 약 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흑자 전환을 이뤘다.
BNK캐피탈은 올해 글로벌 사업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글로벌 재도약에 있어 캄보디아 법인의 반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캄보디아 법인의 부진이 길어지면서 글로벌 사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 법인은 건전성관리에 집중하며 내부통제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단독 출사표' 인피니툼, 스포츠산업 무혈입성할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국토교통혁신 분야, '비하이인베' 주목받는 이유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프로젝트, 작년·올해 재수생 지원…각축전 예고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
- JB우리캐피탈, 2540억 목표 순항…실적 견인한 포트폴리오는
- [MG캐피탈은 지금]'숙원 과제' 신용등급 상향 초읽기, 재도약 '신호탄' 될까
- 현대커머셜, 고수익 자산 대손비용 확대에 실적 '주춤'
- 신한캐피탈, 추가 충당금 규모 줄여 분기 흑자 전환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매각 소식에 업계 '술렁', 다른 일본계 동향은
- [컨콜 Q&A 리뷰]BNK금융 "순이익 목표치 낮춰도 주주환원 계획 이행 가능"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국내 사업전략 조정 불가피, 인베·캐피탈 거취에도 '촉각'
- [Sanction Radar]CNH캐피탈, 업무 보고서 '거짓' 작성…기관주의 '제재'